
국민의힘 대권 주자인 하태경 의원(사진)은 문재인 대통령의 도쿄 올림픽 기간 방일 및 한·일 정상회담이 무산된 데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대선에서 ‘죽창가’를 틀 수 있게 돼 유리하다고 판단하겠지만, 그만큼 국익은 크게 훼손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 의원은 19일 오후 페이스북에 “문 대통령 임기 내 한일관계 정상화의 물꼬를 틀 마지막 계기였는데 결과가 이렇게 돼 안타깝다”고 이같이 밝혔다.
하 의원은 이어 도쿄 올림픽 후 예정된 일본 집권당 자유민주당의 총재 선거를 관계 개선의 새 변수로 꼽으면서 “망가진 한일관계를 수습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끝까지 다해 달라”고 문 대통령에게 요구했다.
하 의원은 앞서 문 대통령의 방일 및 한일 정상회담 성사를 적극 주장했었다.
그는 이날 오전 페북에 “문 대통령이 ‘올림픽 보이콧하라’는 이재명 등 여권 대선 주자들의 겁박에도 한일 정상회담을 추진하는 것은 칭찬받아야 한다”며 “(주한 일본 대사관 총괄) 공사의 망언 파동에도 일본에 가면 통큰 지도자로 인정받을 것”이라고 지지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그동안 국가 지도자로서의 역할보다 국민을 분열시키고 특정 정파의 지도자 역할을 하고 있다고 비판받아왔다”며 “다행히 지난 조 바이든과의 정상회담에서 한·미 동맹을 중시하는 합의를 이끈 데 이어 이번 한일 정상회담까지 성사된다면 국민들로부터 다른 평가를 받게 될 것”이라며 “국익을 저버리고 올림픽 보이콧까지 주장하며 문 대통령을 난처하게 만든 이재명 경기지사 등 여권 주자들은 깊이 반성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었다.
한편 당내 대권 주자이자 외교통인 박진 의원도 이날 “도쿄 올림픽은 한일관계를 미래지향적 파트너십으로 개선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였다”며 “문 대통령 임기 중 한일관계 개선은 이제 물 건너갔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한일관계 정상화는 이제 차기 정부의 몫”이라며 “문재인 정부는 반일 감정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숱한 말 바꾸기와 임기응변으로 한일관계를 악화시킨 책임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고 덧붙였다.
황보승희 국민의힘 수석 대변인은 이날 구두 논평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경제가 어려운데, 경제적 이해관계가 얽힌 일본과의 관계가 더 나빠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계속 대화를 이어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나아가 “독도 영유권 주장, 외교관 발언 등 일본의 최근 행동이 유감스럽지만, 우리 정부 역시 아쉬운 면이 많았다”며 “일본을 상대로 실리를 취할 수 있는 대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