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기준금리 인상 시점에 대해 “늦어서도 안 되지만 서둘러서도 안 된다”며 “연내 금리인상 메시지를 시장에 전달했지만 시작 시점은 코로나 때문에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 회의에 참석해 금리 인상 시점에 대한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했다.
앞서 이 총재는 ‘질서있는 금융 정상화’라는 기준금리 인상 메시지를 여러차례 던진 바 있다. 또한 내년에나 기준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보다 한은이 올해 중에 선제적으로 기준금리를 올릴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블룸버그가 국내외 투자은행(IB)과 경제연구소 등 29개 기관의 전망치를 집계한 결과를 보면 골드만삭스, JP모건, 바클레이즈 등 5곳은 한은이 올해 4분기에 기준금리를 현행 연 0.50%에서 0.75%로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금융권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향후 기준금리 조정 시나리오 중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10월 설이다. 7월과 8월 회의에서 금리 인상을 주장하는 소수의견이 등장한 뒤, 10월에 금리인상이 실제로 단행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실제로 이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주장하는 1명의 소수의견이 나오면서, 올해 중 기준금리 인상은 ‘시나리오’ 대로 갈 가능성이 커졌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밀릴 수도 있다는 분석도 무게가 실리게 됐다.
이 총재는 “현재 경제 주체들의 수익 추구 행위, 레버리지가 과도하게 진전된다면 언젠가는 조정을 거치고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컨트롤(조정)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며 ”많은 사람이 지나치게 낮은 금리가 오래 갈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조정을 위해) 금리와 거시 건전성 정책 등이 같이 가야 한다”고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의지는 확고하다. 하지만 코로나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결국 기준금리 인상 시점은 코로나 4차 대유행이 언제 진화되냐에 따라 달렸다.
이밖에 이날 이 총재는 정부의 재난지원금 ‘선별지원’ 주장에 힘을 보탰다.
이 총재는 “재정 재원은 기본적으로 한정된 것이고, 코로나19로 큰 피해를 입은계층과 피해가 적거나 오히려 부를 더 쌓은 계층이 공존하는 상황을 고려해야한다”며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 얼마나 많은 재원이 추가로 소요될지 가늠하기 어려운 만큼, 재정의 효율성 측면에서 피해를 입은 계층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제주 해변이 ‘신종 마약 루트’?](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3/128/20251113519503.jpg
)
![[기자가만난세상] 김포를 바꾼 애기봉 별다방 1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6/26/128/20250626518698.jpg
)
![[삶과문화] 김낙수와 유만수는 왜 불행한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09/128/20251009511351.jpg
)
![[박일호의미술여행] 로코코 미술과 낭만주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3/128/20251113519317.jpg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300/2025111150797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