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1만여 세대 LH·SH공사 아파트, 층간소음 감사원 적발…입주민 "하자 알면서도 고지 안 했다" 분통

입력 : 2021-07-16 07:00:00 수정 : 2021-07-15 21:41:32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전수조사 아닌 표본조사 토대로 나온 것이어서 입주민에게 알리지 않았다" / "피해 보상을 올해 중 마치고, 층간소음 지원센터 운영하겠다"
KBS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집에 머물게 되는 시간이 늘면서, 아파트 층간 소음에 대해 더 민감해진 상황이다.

 

새 아파트는 방음에 더 신경 써 조금 낫겠지 하는 기대가 있기 마련.

 

유독 층간소음으로 인한 갈등을 크게 겪는 새 아파트들이 있다.

 

KBS 보도에 따르면 지어진 지 2년된 아파트인데 늘 마음을 졸이고 있다.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수도권의 또 다른 아파트. 그간 관리사무소에 접수된 층간소음 민원만 100여 건에 이른다.

 

경찰이 출동하고, 이사를 한 집도 있었다.

 

실제 측정해 봤더니 위층의 소리, 아래층에 고스란히 전달되고 있었다.

 

위층에서 어떤 행동을 하는지 소리만으로 짐작이 가능한 수준이었다.

 

생활습관 탓인 줄 알았는데, 원인은 다른 데 있었다.

 

2019년 감사원이 입주를 앞둔 아파트에 대해 층간소음 감사를 벌인 결과, 법적 기준을 넘긴 것으로 판정받은 아파트였다.

 

문제를 지적받은 아파트는 LH와 SH공사 16개 단지, 약 1만 세대였다.

 

그럼에도 LH와 SH공사는 해당 아파트가 어디인지를 공개하진 않았다.

 

한 아파트 입주민은 "LH 쪽의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없다"며 "감춘 것밖에 안 되니 저희로서는 굉장히 기분이 나쁘다"고 하소연했다.

 

결국 입주민은 문제를 모르고 살게 된 것이다.

 

또 다른 입주민은 "'우리는 사기 당한 느낌이다'라는 얘기를 계속했던 게 여기에 하자가 분명히 있다는 걸 뻔히 알면서도 고지를 안 했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LH와 SH공사 측은 "감사원 감사 결과가 전수조사가 아닌 표본 조사를 토대로 나온 것이어서 입주민에게 알리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한편 LH 측은 KBS 취재가 시작되자 "피해 보상을 올해 중 마치고, 층간소음지원센터를 운영하겠다"고 뒤늦게 밝혔다.


오피니언

포토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
  • 박지현 '아름다운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