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역당국은 대구시가 도입을 추진 중인 화이자 백신은 정상적인 유통경로를 밟은 게 아니며 진위 여부도 의심된다는 입장을 3일 밝혔다.
해당 백신은 신뢰성에 문제가 있고 실제 수입 절차를 추진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을 냈다는 것이다. 이는 지난 2일 입장과 크게 다르지 않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출입기자단 백브리핑에서 "화이자는 각국 중앙정부와 국제기구에만 백신을 공급하고 있으며, 제3의 단체로 (판매를) 승인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구시에 (백신 구매를 제의한) 해외무역업체는 공식적인 유통경로가 있는 업체가 아니다"며 "화이자와 파트너사인 독일 생명공학업체 바이오앤테크 관련 백신은 아닌 것으로, 진위 여부가 의심된다"고 덧붙였다.
손영래 사회전략반장은 "화이자 본사에서 해당 무역업체에 대한 진위 여부를 파악한 뒤 법적 조치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국제수사기관과 적절히 협력할 입장으로 알고 있으며, 관련 내용을 이날 오후 입장문 형태로 배포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손영래 사회전략반장은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도 이런 문제가 몇 번 있었고, 백신 공급을 제안한 업체 제품이 정품이 아닌 해프닝이 종종 발생했다"며 "이(대구시) 백신은 화이자 제품이 아닌 것 같고, 더는 협의할 문제는 아닌 것 같다는 결론"이라고 밝혔다.
중수본은 지난 2일에도 대구시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3000만명분 자체 도입에 대해 "정상경로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손영래 사회전략반장은 2일 정례브리핑에서 "화이자 본사에 문의한 결과, 현재까지는 한국에 대한 판권은 화이자만 보유하고 있으며 다른 방식으로 공급되지 않는다는 답변을 통보받았다"고 강조했다.
앞서 대구시는 지난 1일 메디시티대구협의회와 미국 화이자 코로나19 백신을 별도로 계약해 들여오는 것을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 이 코로나19 백신을 공동 개발한 독일의 바이오엔테크가 생산한 물량을 한국화이자제약이 아닌 다른 무역회사로 수입하는 방식이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사진=뉴스1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