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 ‘포괄적 백신 파트너십’ 구축 대해서
“백신 생산 허브 만들자는 우리 구상과 입장 일치한 결과”

이호승 청와대 정책실장이 이번 한미 정상회담 결과를 두고 중국이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때와 같이 경제보복에 나서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실장은 25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경제보복 얘기는) 너무 앞서나간 예측이다. 그런 분위기가 전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사드 때처럼 무슨 경제보복이라든지 이런 것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없나’라는 질문에도 “그렇지 않다고 본다”고 답했다.
앞서 한미 정상 공동성명에 중국이 주권 사항으로 가장 민감해하는 대만 문제가 처음으로 명시됐고, 남중국해와 쿼드(미국 주도의 4개국 협의체) 등 중국을 자극할 수 있는 사안들이 다수 거론돼 대중 관계와 관련해 외교적 부담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그는 “한국은 팬데믹이라든지 기후변화라든지 글로벌 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데 있어서 가지고 있는 원칙이 있다”면서 “개방성에 기초한 다자주의 같은 것이다. 특정 국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 실장은 이어 “중국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고 무역, 그리고 해외 투자 면에서 매우 중요한 경제 협력 대상국”이라면서 “그래서 한국은 중국과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다시 확인해서 말씀드린다”고 덧붙였다.
이 실장은 한미 정상이 ‘포괄적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로 한 것에 대해서는 “한국을 백신생산 허브로 만들자는 우리 구상과 미국의 입장이 일치한 결과”라며 “국내 생산 백신의 양을 늘리고 백신 관련 기술 수준을 높이면 중장기적으로 국내 방역능력 향상이나 대외 협상력 강화 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모더나사가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단순한 병입 작업만 맡겼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을 보고 놀랐다”며 “백신 원액을 들여와 완제품을 만드는 것은 결코 단순한 기술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 실장은 백신 공급처를 결정하는 권한 문제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그는 “갈수록 단순한 위탁생산을 넘어 라이선스나 직접투자 등의 분야에서 협력수준이 높아질 것”이라며 “그 과정에서 더 많은 권한이 우리에게 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기업 입장에서는 한국에서 생산한 백신을 한국으로 바로 들여오는 것이 효율성 측면에서 최고일 것”이라며 국내에서 생산이 이뤄진다는 것 자체가 의미가 크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 실장은 ‘한국 기업들이 44조원 투자계약을 발표한 것에 비하면 우리가 얻은 것이 적다’는 일부 지적과 관련해서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삼성, 현대차, SK, LG 기업인들을 공동기자회견에 초대해 ‘땡큐’를 세 번 연발하지 않았나”라며 “세계가 지켜보는 앞에서 미국이 인정하는 파트너가 된 것”이라고 의미를 부였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면론에는 답을 회피했다. 이 실장은 “많은 건의를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경제적인 면뿐 아니라 국민정서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며 “제가 전망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