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이그룹 슈퍼주니어 멤버 김희철이 절친했던 후배 가수 겸 배우 고(故) 설리(본명 최진리)와 고(故) 구하라의 사후 성별 갈등으로 대치했던 누리꾼들에게 일침을 가해 대중의 관심을 받은 데 대해 한 칼럼니스트가 여성주의에 대한 모욕을 담은 경솔한 발언이란 취지의 글을 올려 비판했다. 이에 김희철도 지지 않고 “그냥 읽고 넘어가려 했는데 본인 인기 얻고 유명세 올리고 싶어서 XX 빨아 재끼네”라고 원색적으로 비난했다.
김희철은 지난 21일 위근우의 인스타그램에 댓글을 달았다. 위근우가 자신에 대해 비판성 장문을 인스타에 올린 데 대한 반박 성격이다.
김희철은 “성별을 떠나 범죄 저지르면 그냥 범죄자”라며 “아저씨는 뭔데 고인을 이용해 이딴 글을 싸는 거죠”라고 따졌다.
이어 “댁들 싸우는 데 고인을 무기로 쓰지 마시라. X 같으니까”라고 쏘아붙였다.

앞서 그는 전날 오후 방송된 JTBC 예능 프로그램 ‘77억의 사랑’에 출연해 설리와 구하라가 숨진 지난해 말쯤 누리꾼들이 두 사람의 사망 이유에 대해 성별 대립으로 논쟁을 빚은 데 대해 이를 탓했다.
그러면서 “그 일을 겪으며 가장 많이 화가 났던 것은 두 친구에게 성희롱하거나 모욕적인 말들을 하던 악플러들이, 막상 이들이 세상을 떠나니 남녀 편을 갈라 서로 탓하며 물어뜯을 거리를 찾더라”고 비판했었다.

김희철은 같은 소속사 출신으로 절친했던 동생 둘을 연이어 떠나보내며 들었던 비관적인 심경을 털어놓는 한편 두 사람을 둘러싼 성별 갈등 보도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보였었다.
이 방송과 관련, 위철우는 21일 인스타에 “사적으로 친했던 두 동료를 잃은 김희철씨의 분노를 내가 감히 이해할 수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남성 악플러, 여성 악플러 둘 다 잘못한 것은 맞지만, 그 근거로부터 ‘성별 간 갈등’에서도 남녀 둘 다 잘못이라는 결론을 끌어낸 것은 논리적 비약”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김희철)의 말이 이젠 없는 고인의 진심을 대변하는 게 되어선 안 되며, 그럴수록 비판적 독해가 필요하다”며 “남녀 악플이 동일하게 가해졌다 가정해도 실제로 기사나 연예 프로 등을 통해 고인에 대한 오피셜(공식적)한 공격으로 가시화된 건 결국 남성 중심적 담론”이라고 설명했다.

위근우는 또 생전 여성주의자(페미니스트)를 표방했던 설리를 언급하면서 “악플러는 모든 성별에 존재했지만 반대로 설리의 삶을 존중하고 응원해준 이들 대부분은 여성 페미니스트들”이라며 “고인이 본인의 삶 안에서 지키려 한 태도 자체가 다분히 여성의 자기 결정권과 자매애였다”고 여성 혐오 지양 혹은 여성 인권의 신장 등을 표방하는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이 사안을 바라봐야 한다고 주문했다.
더불어 “그렇게 여성 연예인에 가해지는 여성 혐오에 대해 목소리를 내서 저항한 고인이 과연 ‘성별 간 갈등’이라는 프레임에 동의할지 나는 잘 모르겠다”고 털어놨다.
위근우는 김희철의 발언을 두고 여성주의자 설리의 사망을 자칫 남성 중심의 담론 양상으로 왜곡 혹은 비약될 수도 있는 성별 갈등으로 ‘프레이밍’ 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고 비판한 것이다.

김희철은 이후 다시 글을 올려 팬들에게 이번 댓글을 남긴 이유와 더불어 미안한 심정을 전했다. 더불어 악플러들에게 강경 대응도 예고했다.
그는 21일 온라인 커뮤니티인 디시인사이드의 ‘김희철 마이너 갤러리’에 별명인 ‘김기복’을 사용해 글을 남겼다.
김희철은 댓글과 관련, “(위근우의) 글을 읽으며 어이가 없었고, 이번만큼은 참아선 안 된다고 생각해 답글을 달았다”며 “그냥 참고 무시하면 편하겠지만 저런 식으로 고인을 지들 입맛에 맞춰 스토리를 씨부리는 건 절대 안된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제가 이렇게 글을 쓰는 이유는 그동안 김희철이란 연예인을 좋아한단 이유로 온갖 악플러들과 싸우고, 있지도 않은 루머들에 일일이 대응해야 했던 제 팬들에게 미안해서”라고 설명했다.
나아가 “저에 대한 악플을 보시는 분들은 이 갤러리나 여러분이 편한 어떠한 곳이든 남겨달라”며 “저는 개인적으로 변호사 통해 선처 없이 처벌할 것”이라며 고인뿐만 아니라 자신에 대한 악플러들을 상대로 법적 대응을 하겠다고 예고했다.
장혜원 온라인 뉴스 기자 hoduja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