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팀이 삶의 질을 측정한 결과 우리 국민은 환경과 소득에 불만이 크지만 가족과 건강에는 비교적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영호 서울대병원 교수팀은 삶의 질을 측정하는 새 지표 ‘주관적 웰빙 지수’(Subjective Well-being Index·SWBI)를 개발, 측정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8년 3∼5월 한국인 12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건강과 가족 등 14개 항목에 대해 0∼10점에서 답하게 한 뒤 도출한 평균값을 SWBI로 봤다.
항목별 점수를 보면 건강과 가족이 각각 7.1점으로 가장 높았고, 대인관계도 7점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환경은 6.2점으로 가장 낮았고, 소득과 직업도 각각 6.4점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연령별로는 50세 이하의 주관적 웰빙이 51세 이상보다 1.5배 높았고, 남성이 여성보다 1.3배, 기혼이 미혼보다 1.5배 각각 높았다.
또 시골이 도시보다 2.3배, 높은 소득의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1.3배 각각 높았다.
연구팀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삶의 만족도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도 함께 측정했다.
그 결과 ‘내 삶에 만족하느냐’는 질문에 7점 만점 중 평균 4.57점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환경연구·공중보건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에 게재됐다.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
사진=LG 블로그 캡처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