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6공 때 대통령 민정수석비서관과 총무처 장관을 지낸 김용갑(사진) 전 의원은 26일 "대통령 민정수석은 조용히 민심을 수렴해 대통령에게 건의를 해 정책에 반영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책무"라며 "조국 민정수석은 지금 직무유기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전 의원은 이날 기자와 통화에서 "전직 민정수석 자격으로 충고차원에서 조 수석에게 얘기를 하는 것"이라고 운을 뗀 뒤 "민정수석은 대통령이 듣기 싫어도 소신껏 직언하고 대통령이 잘못할 때는 노(NO)라고 말해야 하는 자리이며, 여론수렴을 위해서는 반대편에 있는 사람은 물론이고 각계각층과 다양한 사람의 의견을 가감없이 들어야 한다"며 민정수석의 역할론을 역설했다. 이어 "그런데 조 수석은 국민의 여론을 수렴하기보다는 페이스북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나 주장을 여과없이 밝히고 있다"며 "여론을 수렴하는 것이 아니라 여론을 유도하거나 전파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 수석은 국민여론을 자기편의대로 왜곡하고 있고, 특히 민심을 수렴해 대통령에게 제대로 보고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김 전 의원은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국민통합과 화합의 정치를 하겠다고 국민들에게 약속을 했으나 그동안 국민을 분열시키고 내편,네편으로 편가르기하고 자기편만 국민으로 보고 있다"며 "특히 소득주도성장과 최저임금인상 등의 경제정책으로 서민층이 심각한 고통을 받고 있다. 조 수석이 민심을 정확히 전달했으면 문 대통령이 정책방향을 고치려고 노력이라도 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의 경제 정책이 실패한다면 민심을 수렴해 제대로 보고하지 않은 조 수석은 책임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조 수석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3년과 현재를 비교하며 "당시나 지금이나 (권력기관에 대한) 개혁 의지의 확고함은 동일하다"며 "그러나 지금은 (개혁에 대한) 국민의 지지가 더 높고, 당정청의 협력과 단결도 훨씬 튼실하다"고 말했다. 조 수석은 "2003년 1월 23일 문재인 민정수석비서관 내정자(당시 만 50세)의 일문일답을 다시 읽는다. 특히 '제도개혁에는 검찰, 경찰, 국정원도 예외가 될 수 없다'(고 문 내정자는 말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황용호 선임기자 dragon@segye.com
사진=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