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가 2년 만에 임원 제도를 부활시키기로 했다.
네이버는 '책임리더' 직급을 신설하고 본사 및 계열사에서 68명을 선임했다고 10일 밝혔다.
책임리더는 리더와 대표급(C-레벨) 사이 신설되는 중간 관리자급 직책이다.
비등기 임원의 지위를 가지며, 해마다 계약을 갱신하고 보유 주식에 대한 공시 의무도 갖는다.
앞서 네이버는 2017년 1월 상법상 필수 임원(등기이사, 사외이사) 등 7명을 제외한 임원 직급을 전격적으로 폐지했다. 능력 위주의 수평적인 조직을 추구하는 네이버에서 공식 직함이 소통에 오히려 걸림돌이 된다는 판단에서였다.
이에 따라 당시 비등기 임원 30여명은 모두 임원직에서 물러나 '정규 직원'이 됐다. 대신 각 업무를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직원에게는 '리더'라는 지위가 부여됐다.
하지만 사업 확장 및 직원 수 증가에 따라 회사 덩치가 커지면서 임원급 중간 관리자의 필요성이 계속 대두돼 왔다.
또 사내독립기업인 CIC(Company in Company)의 수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중간관리자(책임리더) 직급을 신설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더욱 커졌다.
현재 네이버에는 검색, 인공지능(AI)과 사용자생산콘텐츠(UGC) 등 총 7개의 CIC가 있다.
한편 네이버는 임원 및 주요 인재 637명에게 총 83만7000주의 스톡옵션을 부여한다는 계획이다. 한성숙 대표 2만주를 비롯해 최인혁 COO에 1만주, 나머지 635명에게 80만7000주를 각각 나눠주기로 했다.
또 1년 이상 근속 대상 직원 2833명에게는 총 42만6000주의 스톡옵션을 부여키로 했다.
이런 임직원 보상 계획은 오는 22일 열리는 주주총회에서 안건으로 상정된다.
현화영 기자 hhy@segye.com
사진=연합뉴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