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알려지지 않았던 스피노자의 삶과 사유

입력 : 2019-01-12 03:00:00 수정 : 2019-01-11 19:14:00

인쇄 메일 url 공유 - +

17세기 철학의 거장 스피노자/유대교 파문후 기술자로 생계/자신만의 철학체계 정립에 몰입/학자들과 주고받은 서신 완역/당대 사상들 조명 독보적 문헌
스피노자 지음/이근세 옮김/아카넷/2만4700원
스피노자 서간집/스피노자 지음/이근세 옮김/아카넷/2만4700원


‘스피노자 전집’(SPINOZA OPERA)의 제4권 서간집(EPISTOLAE)에 있는 84통의 편지를 완역해 낸 책이다. 17세기 철학자들이 주고받은 편지는 오늘날의 논문집과 유사하다. 통상 익명이 아니고 공개되었기에, 편지를 통해 당시 철학자들의 사상이나 이념을 엿볼 수 있다. 편지는 철학을 개척한 당대 학자의 삶이 실질적으로 표현된 독보적인 문헌이다. 스피노자의 편지 역시 그를 알 수 있는 1차 문헌인 셈이다.

스피노자는 당대를 초월한 용기 있는 철학 거장으로 유명하다. 당시 기독교가 지배하는 유럽 사회는 신의 이름으로 사람 목숨을 앗아가고 탄압하는 엄혹한 시대였다. 그는 목숨을 걸고 당시 기독교의 교리를 신랄히 비판한다. 그가 보기에 당시 성직자들은 위선자로 비쳤다.

네델란드 국립도서관에 있는 스피노자 전집 초판본으로, 우주의 질서와 인간윤리를 설파해놓은 고전이다.
그는 포르투갈계 유대인으로 1632년 암스테르담에서 났다. 영특했던 그는 위대한 랍비가 될 것이라는 주변의 기대를 모았다. 14살 때부터 유대 공동체 학교에서 철저한 유대 교육을 받는다. 신학적 이론으로 가득 찬 사상과 이념에 친숙해진다. 신이 존재한다는 유대인의 관습으로 체화됐다. 당시 지식인의 기준인 라틴어를 습득하면서 과학과 스콜라 철학, 데카르트 철학에 접근한다. 특히 데카르트 철학은 스피노자 사유체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데카르트의 이성은 종교에 의문을 품게 만들었다. 스피노자는 유대 신앙과 멀어지기 시작한다. 유대교를 멀리하는 스피노자의 태도에 유대인 사회는 크게 동요했다. 위대한 랍비가 될 것이라던 젊은 유대인이 유대교를 저버렸다는 소문이 퍼져나갔다.

스피노자는 유대교회의 압박에 순응할 생각이 전혀 없었다. 스피노자는 30일간 공동체에서 제외되는 소파문에 선고된다. 소파문은 유대교로 회귀하는 일종의 예비 기간이었다. 이 기한이 지나고도 스피노자의 태도는 변하지 않았다. 1656년 암스테르담의 유대교회 공동체는 스피노자를 대파문에 처한다. 대파문으로 스피노자는 철저하게 배척되고 결국 도망자 신세가 된다. 아무도 모르는 집 다락방에서 하숙생으로 시간을 보낸다. 스피노자는 생계를 위해 렌즈를 연마하는 기술을 배웠다. 렌즈를 가공하는 기술로 생계에 필요한 돈을 벌었다.

그는 자신의 사상을 창출하고 집필하는 데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 철학체계의 정립과 더불어 친구들도 생기고 제자들도 모였다.

스피노자는 종교적 삶의 허구성을 비판하다 도망자의 생을 살아간 불행한 철학자로 알려져 있지만, 당대를 초월하고 먼 미래를 내다본 지혜로운 인물이었다.
스피노자의 명성은 학계에 널리 퍼져나갔다. 하이델베르크 대학의 정교수직을 제안 받았으나 그는 자유를 누리기 위해 거절한다. 자유는 사색을 보장해주었지만 고독한 삶이 이어졌다. 여위고 허약했으며 일찌감치 폐결핵에 걸린 그는 절제된 생활로 간신히 삶을 보전했다. 미세한 유리 가루를 끊임없이 삼키게 하는 렌즈 작업, 운동 부족, 극도의 긴장감으로 병은 악화되어 1677년 숨을 거두었다. 불과 44세의 짧은 생애였지만, 그의 철학과 지성인으로서의 용기는 지금도 면면히 이어진다.

스피노자 철학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최근 국내에서도 관련 연구가 활발하다. 스피노자의 편지가 없었다면, 그의 존재론을 이해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간 스피노자 관련 1차 자료가 국내엔 거의 번역되지 않았다. 이 책은 스피노자의 생각과 이념을 제대로 알 수 있는 고전이다. 그의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인 ‘속성’이나 ‘무한 양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풀이되어 있다. 예수의 부활 같은 민감한 사안에 대한 스피노자의 생각도 담겨있다.

정승욱 선임기자 jswoo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