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울시 “통신구·온수관 등 지하시설물 통합 관리”

입력 : 2018-12-14 06:00:00 수정 : 2018-12-13 22:35:07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시, 2019년 상반기까지 안전대책 마련 / 전력구·가스 등 민간관리 시설물 / 市 통합시스템으로 관리 일원화 / 모든 지하구 법정시설 지정 건의 / 사고 대응·행동 매뉴얼도 개선 / TF팀 구성 2020년까지 특별점검 최근 아현동 KT화재, 목동 열수송관 파열 등 지하시설물 사고가 잇따르자 서울시가 그동안 개별적으로 관리되던 통신구·온수관 등 지하시설물을 통합 관리하고 사고 대응 매뉴얼을 제작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의 ‘지하시설물 안전관리대책’을 내년 상반기까지 마련해 시행한다고 13일 밝혔다.

통신구, 전력구, 공동구, 가스관, 상·하수도 등 서울시 지하시설물의 총연장은 약 3만2147㎞다. 이 중 통신구, 전력구, 가스는 민간에서 관리되고 있어 정확한 현황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다.
박원순 서울시장(왼쪽 다섯번째)이 지난 11일 오후 서울 양천구 목동 열수송관로 노후로 인한 누수 현장을 방문해 상태를 보고받고 있다.
서울시 제공

앞으로는 민간 지하시설물 정보도 시가 운영 중인 지하시설물 통합관리 시스템에 입력해 관리한다. 이를 위해 신규 지하시설물과 이미 설치된 시설물은 점용허가 및 점용료 부과 시(연 1회) 매설 위치, 재질, 규격 등 자료 제출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제출받은 자료는 통합관리 시스템 DB(데이터베이스)에 월 1회 업데이트된다.

시는 또한 열수송관·전력구 등 일정 규모 이상의 주요 지하시설물은 도시관리계획 결정 후 실시계획 인가를 받아야 사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 개정을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아울러 모든 지하구가 법정시설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통신구, 전력구, 열수송관, 가스관 등도 2종시설물로 지정할 수 있는 법령 개정을 중앙부처에 건의할 예정이다. 현행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르면 공동구만 계속 관리가 필요한 2종시설물로 지정돼 관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관계자들은 지난 10일 행정안전부 재난안전본부장을 만나 지하구 관련 법령 개정 등을 요청했다.

시는 재난사고 초기대응 및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을 개선한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대응방을 이용해 집단대응체계를 가동하고, 현장연락관 파견과 재난지휘버스 출동을 지원한다.

서울의 도시시설물은 1970∼1980년대 집중적으로 건설됐고, 다른 도시와 비교해 대형시설이 많아 사고 발생 시 대규모 피해가 우려된다. 지난 11일 목동 온수관 파열도 노후관에서 발생했다. 시는 우선 2021년까지 노후 온수관을 단계별로 교체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자치구 TF(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지하시설물에 대한 정기·특별점검을 할 예정이다. 시는 이미 중앙부처, 소방청 등과 주요 통신시설에 대한 합동점검을 벌이며 열수송관, 상·하수도관 등 지하시설을 점검하고 있다. 하수도관은 올해 219개 지점 192㎞를 점검했고, 상수도관은 2020년까지 총연장 1만3649㎞를 정비할 계획이다.

김학진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지하시설물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미비점을 보완하는 등 안전관리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권이선 기자 2sun@segye.com

오피니언

포토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
  • 박지현 '아름다운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