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웹하드 전 직원 폭로 "포르노에 절대의존…모든 웹하드 폐쇄해야"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18-11-10 10:27:34 수정 : 2018-11-10 10:27:34

인쇄 메일 url 공유 - +

양진호 한국미래기술 회장의 ‘웹하드 카르텔’ 등으로 수면 위로 떠오른 웹하드 문제에 대해 “‘포르노 판매·유통’에 절대의존하며 별도 사무실에서 직접 포르노 업로드까지 한다”는 폭로가 나왔다.

9일 청와대 국민청원에 올라온 ‘모든 웹하드를 폐쇄하라’는 글에 따르면 자신이 웹하드에 근무한 전 직원이라고 밝힌 청원자는 이 같은 내용의 웹하드 관련 실태를 밝혔다.

그는 청원글에서 “웹하드는 표면적으로 드라마·영화 등의 유통채널로 포장하지만 실질적인 존재 목적은 100% ‘포르노 판매’”라며 “웹하드가 수익이 되지 않는 방송사 및 영화사와 굳이 계약하는 건 결국 실질 수익이 되는 포르노 판매 매출을 숨기기 위한 포장지”라고 말했다. 저작권이 있는 영상물의 경우 유저 결제금액에 대해 방송사가 80%, 웹하드가 20% 비율로 가져가는데 비해 디지털 성범죄 영상 등은 유저 결제금액 100%를 웹하드가 가져간다는 것이다. 드라마나 영화를 미끼로 회원을 유치한 뒤 결국 포르노 판매에 의존한다는 설명이다. 방송사 등과 불공정계약이 이루어짐에 따라 합법 저작물로는 웹하드가 적자를 볼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이러한 방향성이 강화됐다고도 덧붙였다.

이를 위해 행해진 다양한 불법성 행태들도 고발됐다. 청원자에 따르면 웹하드는 법망을 피하기 위해 반드시 바지사장을 내세우며 그가 구속되거나 처벌을 받으면 금전적으로 보상해준다. 양진호 회장의 위디스크, 파일노리처럼 복수의 사이트를 운영해 사법적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기존 수익 보존을 꾀한다고도 밝혔다. 심지어 상당수 웹하드 업체들이 별도 사무실을 두고 포르노를 직접 업로드해 헤비 업로더에게 줄 수수료를 절감한다는 충격적인 폭로도 나왔다. 검찰 및 경찰 등 감시기관의 IP를 차단하는 것은 웹하드 업체에게는 ‘아주 쉬운 기술’이라고도 덧붙였다.

끝으로 청원자는 이러한 웹하드의 실태가 지난 10년여간 알려지지 않은 데 대해 의구심을 제기했다. 포르노 제작 및 유통이 중대범죄인 국가에서 무소불위로 포르노 유통이 이루어 진 것은 검·경찰, 문화체육관광부, 방송통신위원회, 언론 등 여러 이권 단체의 개입 없이 불가능하다는 주장이다. 디지털 성범죄 관련 처벌은커녕 드라마·영화 등의 저작권법 위반에만 초점을 맞춰 솜방망이 처벌을 했다고 청원자는 지적했다.

정지혜 기자 wisdo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