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안에 따르면 선천적으로 자궁 없이 태어난 로키탄스키증후군을 가진 여성 5명에게 모친이나 자매 등 이 여성 친족에게서 받은 자궁을 이식하는 수술을 한다. 연구팀은 이식 후에는 거부반응이 발생하지 않도록 면역억제제를 투여하되,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이 심한 것을 고려해 출산 후에는 자궁을 다시 적출할 계획이다. 이식한 뒤 출산까지는 적어도 2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자궁 이식 수술에 대해서는 윤리적인 문제가 제기된다. 심장, 신장, 간장 등의 장기 이식은 환자의 생명을 구하려는 목적인 것에 비해 자궁이식은 상황이 다르기 때문이다. 아사히신문은 “(자궁이식을 위한) 자궁 적출은 수술에 시간이 걸려 출혈도 많기 때문에 (자궁) 제공자에게 부담이 된다”며 “임산부에게 쓰이는 면역억제제가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도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산과부인과학회는 일본 이식학회와 함께 논의해 자궁이식 임상연구의 허용 기준을 연구팀이 속한 게이오대 윤리위원회에 제시할 계획이다. 윤리위원회는 이런 기준을 토대로 임상연구 허용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자궁이식은 선천적으로 자궁이 없거나 암 수술 등으로 자궁이 적출된 여성의 출산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 자궁이식이 10차례 이상 진행된 스웨덴의 경우 자궁 제공자가 어머니인 경우가 많았다.
김청중 기자 c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