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전거 헬멧 착용 의무화가 시행된 지 사흘째인 30일 서울 여의도 공원 내 자전거 대여소에 헬멧이 비치되어 있다. 이재문 기자 |
안전이 주요한 사회적 이슈가 됐음에도 왜 이렇게 반발이 거셀까. 시민 의견을 종합하면 일단 ‘불편함’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일상에서 매순간 헬멧을 일일이 챙기기 어려운 데다 ‘간편함’을 모토로 한 공공자전거의 도입 취지에도 어긋난다는 것이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대책으로 내놓은 ‘공유 헬멧’은 수량이 극히 적고, 그마저도 도난 문제로 몸살이다.


정부는 “단속하지 않을 것”이라고 진화에 나섰지만 정치권에서는 “법으로 의무화한 마당에 단속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또 설령 정부 말대로 단속이나 처벌을 하지 않을 것이라면 시민들에게 불필요한 죄책감을 지우고, 혼란만 가중시켰단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캠페인으로 할 법한 일을 굳이 법으로 의무화한 이유가 무엇이냐는 것이다.

이창수 기자 winteroc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