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동방경제포럼이란? [한반도인사이트]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18-09-11 19:42:34 수정 : 2018-09-11 19:42:34

인쇄 메일 url 공유 - +

동방경제포럼은 러시아의 극동·시베리아지역 개발을 위한 투자유치 플랫폼이다. 매년 9월 열린다. 2015년 시작돼 올해 4차를 맞았다. 투자유치를 위해 매년 푸틴 대통령이 각국 대표단을 만나며 직접 ‘세일즈외교’에 나선다.

푸틴 대통령은 집권 3기를 시작하면서 아시아 회귀 정책에 역점을 뒀다. 국내에서는 ‘러시아의 신(新)동방정책’으로 일컫는다. 러시아 서부의 모스크바가 정치의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가 문화예술의 수도라면 동부 블라디보스토크를 경제수도로 삼겠다는 게 러시아의 구상이다. 서부에 비해 변방으로서 경제가 뒤쳐졌던 극동지역을 본격 부흥시키겠다는 계획 하에, 극동개발과 관련한 다수의 전담 기관과 부처 등을 만들어 개발에 총력을 기울여왔다. 미국 및 유럽과의 관계가 악화한 것도 러시아의 아시아 회귀 정책이 본격화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된다. 

11일 러시아 극동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막한 '동방경제포럼'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가운데)이 기업인들과의 회동 모임을 주재하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극동지역은 중국, 북한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그런 만큼 남·북·러 3각협력은 동방경제포럼의 고정 이슈나 다름 없었다. 지정학적, 지경학적 가치에 주목한 한·중·일의 경쟁 구도도 형성됐다. 중국, 일본은 가장 큰 투자국이다.

러시아 극동지역을 두고 철도 및 가스파이프라인 연결 등 초대형 프로젝트들이 거론돼왔으나 현실적으로 구체화하지 못한 채 장밋빛 구상에 그친 측면이 있었다. 이에, 최근 국내에선 북핵이슈나 안보의 틀에 갇히지 않고 경제성이 중심이 돼 중소기업, 지방자치단체 등이 주체가 될 수 있는 사업들을 발굴, 참여시켜야 한다는 지적을 수용한 협력 양상 변화도 감지된다.

북한의 개혁·개방과 남북간 경제협력이 재개될 경우, 러시아 극동지역은 북방경제협력의 핵심 거점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지난해 문재인 대통령이 주빈 자격으로 참석해 연설하기도 했다. 이 연설에서 문 대통령이 신(新)북방정책 및 한반도 신(新)경제지도 비전을 밝혔다.

올해 동방경제포럼은 ‘극동: 가능성의 경계를 확대하며’를 주제로 11일부터 13일까지 열린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등 주요국 정상 및 정부 인사들이 참석한다. 우리 측에서 이낙연 국무총리도 10일 러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해 12일까지 2박3일간 일정을 갖는다. 기업인, 전문가 등 총 6000여명이 참석할 전망이다.

푸틴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도 초청했다. 이에 김 위원장 참석 여부에 관심이 쏠렸지만 불발됐다. 북·미협상 교착, 다음주 남북정상회담 개최 등의 이유로 분석된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지수 '시크한 매력'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