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북한 5세 미만 영유아 사망률, 남한의 8배

입력 : 2018-07-31 21:07:12 수정 : 2018-07-31 21:07:12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 북한은 영유아 4명 중 3명이 적절한 영양을 섭취하지 못하고 비위생적인 환경에 노출되면서 세계적으로 높은 영아사망률을 기록하고 있다. 영양 실조에 걸린 성인이 저체중아를 낳고 이 아이가 성장 과정에서 제대로 먹지 못해 발달지체를 겪으며 다시 저체중아를 낳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이 최근 발표한 ‘북한 영유아 및 아동 지원 사업의 분석 결과와 향후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영유아 사망률은 인구 1000명당 24명으로 남한(3명)의 8배에 달했다. 북한의 5세 미만 영유아 사망률은 1998년 92.3명에서 2000년 76.8명, 2004년 44.5명, 2009년 41.4명, 2012년 36.8명 등으로 낮아지고 있다. 하지만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은 지난해 2월 영유아를 포함한 170만명의 북한 아동이 치명적인 질병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지역에 따라 아동의 건강상태 양극화도 심했다. 평양은 그나마 양호했지만 이외 지역 아동의 건강 상태는 처참했다. 북한에서 생후 6∼23개월 아이 중 최소 기준의 영양이라도 섭취하는 아동은 4명 중 1명(26.5%)에 그쳤다. 평양은 이보다 월등히 높은 59.4%였지만 양강도 15.6%, 자강도 17.3%, 강원도 18.4%, 황해북도 18.5% 등 그 외 지역은 10%대였다.

출생 시 체중이 2500g 미만인 저체중아 비율도 평양은 3.8%로 북한 전체 평균(5.7%)보다 낮았다. 반면 자강도는 6.6%, 강원도 7%, 양강도·황해남도 7.7% 등으로 평균을 넘어섰다. 평양 주민과 다른 지역의 생활 수준 격차가 크다는 방증이다.

보고서는 “북한 영유아 및 아동에 대한 국제사회의 영양 지원이 매우 필요함에도 북한의 계속된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로 2008년 이후 식량 분야의 지원이 사실상 대부분 중단됐다”며 “북한 아동의 건강, 영양 상태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북한의 영아사망률이 여전히 높긴 해도 1990년대에 비해 급감한 건 한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도움으로 신생아 예방접종률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남북 관계 경색 이후 식량 지원은 거의 끊겼지만 기초보건 지원은 지속한 결과다.

조성은 보사연 미래전략연구실 통일사회보장연구센터장은 “미래 한반도를 위해 북한 아동의 영양, 교육, 복지 개선 등 아동의 삶의 질에 초점을 맞춘 통합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정치적 관계 변화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현미 기자 engin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지수 '시크한 매력'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