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와 행정안전부는 5일 발표한 ‘신혼부부·청년 주거지원 방안’을 통해 지난해 ‘주거복지 로드맵’에서 제시한 신혼부부와 청년 주거지원 목표를 대폭 상향했다. 공공주택 공급과 금융지원 등을 포함한 지원 규모가 신혼부부는 애초 60만가구에서 88만가구로, 청년은 56만5000가구에서 75만가구로 각각 증가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서울 구로구 오류동의 행복주택 단지를 찾아 “이번 대책에 투입되는 재정규모는 지난 정부에 비해 3배에 달한다”며 “심각한 저출산 문제의 해결을 위해 국민께서 동의해 주시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신혼희망타운은 애초 7만호를 공급하기로 하던 것을 3∼4곳의 공공택지 추가 지정을 통해 10만호로 늘리기로 했다. 초기 임대료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분양형에는 전용 수익공유형 모기지를 연 1.3% 저금리로 최장 30년간 집값의 70%까지 지원한다. 생애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신혼부부는 내년부터 취득세를 50% 감면받는다. 국토부는 신혼부부와 다자녀 가구에 대해서는 무주택 서민을 위한 주택도시기금대출 상품인 디딤돌(구입)·버팀목(전세) 대출과 신혼부부 전용 구입·전세 대출 상품의 대출 한도를 높이고 우대금리도 제공한다.
정부는 또 청년 주거지원 대상자를 기존 주거복지 로드맵 목표인 56만5000가구에서 75만가구로 18만5000가구 늘린다.
국토부 관계자는 “신혼부부와 청년의 주거불안이 혼인 감소와 저출산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신혼부부와 한부모 가정의 주거여건을 개선해 저출산을 극복하고 청년의 주거 사다리를 구축해 이들의 원활한 사회진입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아빠 육아휴직 보너스제’의 급여도 월 200만원에서 250만원으로 인상된다. 남편이 받는 유급 출산휴가도 3일에서 10일로 늘어난다.
김선영·이현미 기자 00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