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는 28일 충남대에서 2022학년도 수능 과목구조·출제범위 논의를 위한 대입정책포럼을 열어 이 같은 방안을 공개했다. 국어영역의 경우 독서, 문학은 모든 수험생이 치러야 하는 공통과목으로 하고,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는 1개를 필수적으로 선택해 시험을 보게 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지금은 독서, 문학,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가 모두 수능 국어과목의 출제범위에 들어 있다.
수학영역은 새 교육과정의 문·이과 통합 취지를 살려 지금과 같은 가·나 분리형 출제 구조를 없애고 수학Ⅰ과 수학Ⅱ를 공통으로, 확률과 통계, 미적분을 공통선택으로 쪼개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지금은 자연계열 학생이 주로 보는 수학 가형 출제범위에 수학Ⅰ, 확률과 통계, 미적분이, 인문사회계열 학생이 치르는 수학 나형에는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가 들어가 있다.
이 방안이 확정되면 수험생의 학업 부담이 다소나마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학생의 선택권은 강화된다. 대학으로서는 모집단위별로 필요한 부문에 대한 요구를 세분화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렇게 할 경우 수능 과목구조가 복잡해지고, 선택한 유형에 따라 난이도가 차이 나는 단점이 있다. 수학의 경우 인문사회계열 진학 희망자는 확률과 통계를, 자연계열 희망자는 미적분을 선택할 공산이 큰데, 사실상 지금과 같은 분리출제가 될 수밖에 없다.

과학 4개 과목 중 1개 과목만 배우면 되므로 학생 부담은 줄어들게 되지만 대학 진학 시 학과선택의 폭은 좁아질 수밖에 없다. 생물만 선택해 물리를 공부하지 않은 학생이 기계공학을 전공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점수를 따기 쉬운 특정 과목으로 쏠림현상이 나타나 분야별로 고른 학문 발전의 저해요인이 될 수도 있다. 지난해 논의된 통합사회·통합과학은 포함하지 않을 공산이 크다.
영어와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은 현행체제를 유지하되 제2외국어/한문은 선택과목 간 유불리 문제점을 없애 절대평가로 전환할 전망이다.
수능 개편안을 발제한 변순용 서울교대 교수는 “출제범위가 늘어 학생 부담이 커지는 것을 막고, 문·이과 통합이라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취지와 공교육 정상화 필요성을 고려해 개편안을 검토했다”고 말했다.
이강은 기자 ke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