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김종필 전 총리 영결식 엄수…"민족의 큰 별 떨어졌다"

입력 : 2018-06-27 09:34:06 수정 : 2018-06-27 09:27:09

인쇄 메일 url 공유 - +

 "우리나라와 민족의 큰 별이 떨어졌습니다."

27일 고 김종필(JP) 전 국무총리의 발인과 영결식이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엄수됐다. 이날 영결식과 발인에는 유족과 김 전 총리와 인연을 나눴던 정재계 인사 등 250여명이 참석해 그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이날 오전 6시30분께 서울아산병원에 마련된 고인의 빈소에서 발인제가 진행된 뒤 오전 7시께 1층 영결식장에서 영결식이 거행됐다.

영전 양편에는 강창희 전 국회의장, 이낙연 국무총리, 이한동 국무총리, 문재인 대통령, 이명박 전 대통령, 노태우 전 대통령, 전두환 전 대통령, 나카소네 야스히로 전 일본 총리의 근조 화환이 세워졌으며 옆에는 국민훈장 무궁화장도 세워졌다.

이낙연 국무총리, 이한동 전 국무총리, 강창희 전 국회의장, 김진봉 재단법인 운정 이사장, 송인웅 원로목사, 성문 스님,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심대평 전 충남지사, 한광옥 김대중 전 대통령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 이인제 전 한국당 충남지사 후보, 성일종·정우택·정진석·안상수 국회의원, 탤런트 최란씨 등 250명이 자리해 고인의 마지막을 함께 했다.

장례위원장인 이한동 전 국무총리는 조사에서 "누가 뭐라고 해도 풍요한 대한민국 자유와 민주를 만끽하는 오늘을 있게 한 분"이라며 "35세의 혁명, 두 차례 총리 역임과 9선의 국회의원, 4번의 정당 총재 등은 우리나라 국정과 정치 발전에 얼마나 지대한 기여를 했는지 능히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론 산업화 추진과 정치발전이라는 대업 뒤안에서 고뇌도 컸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목숨을 건 혁명, 매국노의 누명을 쓴 한일 협상, 두 차례 쫓겨낸 외유, 2인자에 대한 경시와 견제, 신군부 탄압과 망명 속의 협정과 연합의 반세기 정치 일정은 한편의 대하드라마가 아니고 무엇이겠습니까"라며 "고매한 인격에서 우러나오는 경륜과 지혜, 지성 미래를 통찰하는 예, 끝없는 나라 사랑, 총재님은 영원한 스승"이라며 고인을 기억했다.

나카소네 히로부미 일본 참의원은 부친인 나카소네 야스히로 전 총리의 조사를 대독했다. 그는 "일본과 한국의 수결은 선생을 빼놓고 말할 수 없다. 매우 어려운 협상에서 깊은 통찰력으로 대한민국 발전과 일본과 한국의 미래를 바라보는 대국적 판단으로 합의에 이르게 하셨다"며 "선생님의 공적은 양국 국민 마음에 깊이 새겨져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매년 8월 일본에서 골프를 함께 치기도 하고 선생께서 즐기던 밸런타인 위스키 마시며 정치 문화 등 이야기꽃을 피웠다. 1960년대 말이라고 생각됩니다만 후지산 그림을 한 장의 캠퍼스에 공동으로 그린 적도 있다"며 "모든 것이 지금에 와서는 아름다운 추억이다. 좋은 옛 친구를 떠나보내 참 슬프고 적막하기 짝이 없다"고 추모했다.

기도는 손인웅 목사가, 염불은 성문스님이 맡았으며 박형규 전 국회의원이 마지막 길을 배웅하는 만사를 읽으며 헌화 및 분향을 끝으로 마무리됐다. 일부 유족의 눈시울이 붉어지고 흐느끼는 소리가 들리기도 했으나 전체적으로 차분한 분위기 속에 치러졌다.

영결식에 이은 발인에서는 유족, 운정재단 관계자, 정진석 의원 등이 자리해 마지막 가는 길을 지켜봤다. 김 전 총리가 과거 한국스카우트연맹 총재였던 인연으로 스카우트 대원들의 장문례가 진행됐다.

위패와 김 전 총리가 웃고 있는 영정 사진, 훈장을 손자들이 들고 나오자 딸 예리씨를 필두로 운구 행렬과 유족, 친지 등이 뒤를 따랐다. 예리씨는 관을 운반하는 내내 침통한 얼굴로 고개를 떨궜고 유족들은 숨죽여 눈물을 흘렸다. 관이 운구차에 실린 뒤에도 운구차 앞에서 한참을 고개 숙여 묵념하기도 했다.

또 장례 첫날부터 준상주 역할을 한 정진석 의원이 운구차에 두 손을 얹으며 마지막 인사를 해 주변을 숙연하게 했다. 유족 및 친지 외에 고인과 친분이 있는 인사들도 자리를 지켰다.

영결식이 끝나고 유해를 실은 운구차량은 노제를 지내기 위해 서울 청구동 자택으로 향했다. 이후 서울추모공원으로 이동해 화장을 진행한다. 화장을 마치고 수습한 유해는 모교인 부여초등학교와 공주중고등학교를 들렀다가 충남 부여에 있는 가족 묘역에 묻힌다.

<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다미 '완벽한 비율'
  • 김다미 '완벽한 비율'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윤서연 '청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