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족기능 보강 등 필요” 지적도 세종시 인구가 시 출범 5년 10개월 만에 30만명을 넘어섰다.
2012년 이후 3배가량 늘어난 빠른 성장세에 대해 조기에 정주 여건을 갖춘 범정부적 개발사업의 결과라는 긍정적 평가와 주변 도시에 대한 ‘빨대 효과’에 불과하다는 부정적 시각이 교차하고 있다.
9일 세종시에 따르면 시 인구는 전날 기준 30만24명으로 집계됐다.
2012년 7월 시 출범 당시 10만751명에서 2015년 20만명을 넘어선 뒤 3년도 안 돼 다시 30만명선을 돌파했다. 인구 규모로는 전국 167개 시·군 중 37번째다.
40개 중앙행정기관 및 15개 국책연구기관 이전과 함께 교통·생활 인프라 확충, 정주 여건 개선 등 영향으로 인구가 매년 3만∼5만명씩 늘어난 결과다.
인구 유입은 신도시 개발지역인 행정중심복합도시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기군과 공주시 지역인 읍·면지역은 2012년 9만5003명에서 9만7192명으로 제자리걸음이지만 신도시는 첫해 5748명에서 20만2124명으로 급증했다.
올해 들어서도 이사철이 시작된 3월 이후 하루 400명에서 최하 120명 이상씩 늘어 증가세는 당분간 지속할 전망이다. 세종시에 따르면 앞으로 2년간 신도시에는 2만5000여 가구의 공동주택이 추가로 들어선다. 행정안전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중앙부처의 추가 이전도 예정돼 있다.


실제 인접 대전시에서 세종시로 빠져나간 순 유입 인구(전입-전출)는 지난해 말 기준 7만2460명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충북에서 1만8944명, 충남에서 1만7611명이 각각 세종시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나 충청권 유출인구가 세종시 전체 인구증가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대전시 인구는 이로 인해 2010년 이후 8년 만인 지난 2월 150만명 이하로 떨어졌다.
반면 세종시의 당초 유입대상이던 수도권의 서울은 1만9794명, 경기도는 2만6006명에 그쳤다.
중앙부처 공무원이나 국책연구기관 종사자를 빼면 순수 이동은 기대에 미치지 못한 셈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세종시가 충청권에서만 살기 좋은 도시로 인식될 뿐 전국적으로는 부동산 투기장 이외에 주거지로서 아직 큰 매력을 갖지 못한 결과”라며 “자족 기능 보강과 함께 행정수도 명문화 등 수도권 인구 과밀현상을 해소할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세종시는 이날 새롬동 주민센터에서 인구 30만명 달성 기념행사를 열고 30만 번째 시민에게 세종시민 인증서를 전달했다.
이춘희 시장은 이 자리에서 “입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삶의 질을 높여 국가균형발전과 자치분권 선도도시로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살고 싶어 하는 도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세종=임정재 기자 jjim61@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