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일보 DB. |
환경부가 27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포장재 사용 생산업체 19곳과 ‘포장재 재질·구조 개선 자발적 협약’ 체결로 폐비닐 문제에 이어 페트병 재활용 문제 해결에도 박차를 가한다.
이날 환경부에 따르면 협약 대상 업체들은 사용 후 발생하는 폐기물량이 많은 제품 생산으로 일정 정도 회수 책임이 있는 재활용 의무 생산자들이며, 2016년 기준으로 국내 페트병 출고량 총 26만톤 중 55%를 생산했다.
협약에 따르면 오는 2019년까지 자율적으로 생수, 음료 등 페트병을 무색만 사용하도록 하지만, 맥주처럼 제품 품질 보장을 위해 필요한 경우만 갈색이나 녹색 페트병을 쓰도록 했다.
협약이 이행되면 재작년 63.5%였던 무색 페트병 사용률이 2019년에는 85.1%까지 증가할 것으로 환경부는 예측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재활용이 어려운 유색 페트병 생산을 제품 지침에서 금지하는 일본 경우를 보면, 협약이 재활용 용이성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재활용 비용을 증가시키는 종이라벨 사용과 몸체 직접 인쇄도 제한할 방침이며, 재활용이 어려운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 등 재질도 2020년까지 재활용이 용이한 페트 등으로 대체할 예정이다.
몸체와 뚜껑 재질이 달라 재활용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일도 줄어들 전망이다. 업체들은 페트병 외에 요구르트병, 샴푸 등 합성수지 용기류 생산 때도 알루미늄 재질 뚜껑 등을 몸체와 동일한 재질로 바꾸기로 했다.
협약에 참여한 업체는 광동제약, 남양유업, 농심, 대상, 동아제약,롯데제과, 롯데칠성음료, 매일유업, 빙그레, 서울우유, 아모레퍼시픽, 애경산업, 오비맥주,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코카콜라음료, 하이트진로, 해태에이치티비, CJ제일제당, LG생활건강 등이다.
업체들은 또 품목별 제품 특성을 고려해 재활용이 쉬운 재질·구조 개선 사항을 적극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며, 협약은 올해 6월부터 추진된다. 목표가 이행될 때까지 매년 세부 이행계획을 세우고 환경부와 협의 과정을 거친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자발적 협약이 생산단계에서부터 재활용이 쉽도록 제품이 설계돼 재활용 산업이 활성화하고 자원순환 사회로의 이행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포장재 재질·구조 기준 개선 등 관련 업계 및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한 제도개선으로 생산자의 재활용 책임을 강화하고 재활용의 효율성을 개선해 재활용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