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단독] 한미연합사 본부, 국방부 근무지원단 건물에 둥지

입력 : 2018-03-02 18:41:41 수정 : 2018-03-02 18:41:40

인쇄 메일 url 공유 - +

“신규 건물 행정동 적합 판단”/ 용산공원 조성사업도 탄력 용산공원화 조성사업으로 이삿짐을 싸는 한·미연합사 본부가 국방부 근무지원단 행정동 건물에 둥지를 틀 것으로 알려졌다.

군 소식통은 2일 “한·미연합사 본부 건물의 국방부 영내 이전과 관련해 최근 송영무 국방부 장관이 지은 지 얼마 되지 않은 근무지원단 행정동이 적합하다는 판단을 내렸다”면서 “미군 측에도 이 같은 내용을 통보해 향후 양국 간 양해각서 교환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연합사에서 운영해온 작전상황실(정보작전부서 포함)은 보안 등을 이유로 별도로 국방부 지하에 들어서는 것으로 조율된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연합사 본부의 국방부 영내 이전 건물이 정해지면서 용산공원 조성사업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그동안 국방부 영내 국방시설본부, 근무지원단 행정동, 합참 건물 뒤편 옛 국방조사본부 건물 등 3곳을 연합사 본부 이전 후보 건물로 저울질해 왔다. 합동참모본부와 인접한 옛 국방조사본부 건물은 시설 노후화에 따른 안전문제와, 이를 보수 또는 리모델링할 경우 연합사 이전이 상당기간 늦춰지고 막대한 추가 비용 발생이 예상돼 제외됐다. 미군기지와 인접, 미군기지에 매설된 전기시설 등을 끌어다 쓰는 데 편리할 것으로 여겨졌던 국방시설본부는 인근 헬기장 소음 등의 이유로 배제된 것으로 전해졌다. 근무지원단 건물은 신규 건물인 데다 행정동과 병영생활동 2개동으로 지어져 기존 시설 이전이 용이하다는 점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연합사 본부 건물의 이전과 관련해 한·미 양국이 협의를 끝마쳤다 하더라도 시설공사와 비용 문제 등으로 올해 중 이전이 완료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군 관계자는 “한·미가 국방부 영내 근무지원단 건물 입주라는 타협점을 찾았지만 각종 시설공사에 적잖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국방부는 지난 1월 4일 “한·미는 전작권 전환 시까지 용산기지 내에 잠정 유지하기로 했던 한·미연합사 본부를 국방부 영내로 이전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고 공식 확인했다. 이날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도 서울사이버대에서 열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초청강연에서 “한·미연합사의 경우 본부는 서울에 잔류할 것”이라며 “국방부 구역 안에 함께 있음으로써 한·미동맹의 군사적 역량을 한곳에 집중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미연합사 터(24만㎡)는 용산공원 전체 면적(243만㎡)의 10%나 되는 데다 공원을 남북으로 가르는 위치에 있어 공원 조성에 걸림돌로 꼽혀 왔다.

박병진 군사전문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지수 '시크한 매력'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