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소통 창구로 애용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위터가 국내에서 성매매·음란 정보의 유통 창구가 되고 있다. 이 같은 문제는 이전부터 지적돼 왔지만 상황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를 개선하기 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입을 모은다.
![]() |
트윗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사이트인 ‘트윗덱’에서 서울 강남역 같은 특정 지역명만 검색해도 각종 성매매, 음란 정보가 휴대전화 번호나 홈페이지 주소와 함께 쏟아져 나온다. 트윗덱 캡처 |
![]() |
서울 강남구 일대의 안마 업소 관계자가 운영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한 트위터 계정 프로필 모습. 그간 올린 트윗이 1만건이 넘고 이 계정을 따르는 팔로어는 1200여명에 달한다. 트위터 캡처 |
트위터에 이런 정보가 범람하는 문제는 통계에서도 드러난다. 최근 5년간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SNS 성매매·음란 정보 시정 요구 건수에서 트위터는 △2012년 93.20% △2013년 80.75% △2014년 62.19% △2015년 70.39% △2016년 72.44%로 매년 과반을 차지했다. 올해 1분기의 경우에는 1643건 가운데 98.78%에 달하는 1623건이 트위터다.

트위터 코리아는 방심위 시정 요구나 이용자 신고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트위터 코리아 관계자는 “‘누구나 다양한 발언을 빠르게 전파할 수 있는 플랫폼이어야 한다’는 트위터의 기본 철학에 근거해 이용자의 자유와 권리를 해칠 가능성이 높은 사전 심의나 모니터링은 하고 있지 않다”면서도 “이용자들의 신고가 있을 경우 트윗을 삭제하거나 계정을 차단하는 조치를 취하고, 방심위 등 정부 기관의 요청에도 적극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트위터상에서 성매매·음란 정보가 무분별하게 나도는 건 트위터의 문제가 아닌 일부 트위터 이용자들의 문제라면서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전북대 설동훈 교수(사회학)는 “트위터가 다른 SNS에 비해 상대적으로 검색, 가입 등이 쉬운 점 때문에 (성매매 알선 등) 업자들이 관련 정보를 트위터를 통해 퍼뜨리는 일종의 관행이 생겼다고 볼 수 있다”며 “무작정 손 놓고 있을 수만은 없고 이 문제를 사회적으로 논의하고 규제를 비롯해 적절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숭실대 박창호 교수(정보사회학)는 “미성년 트위터 이용자들이 불법·유해 정보를 손쉽게 접할 수 있다는 게 문제”라며 “트위터상에 그런 정보가 만연하고 있는 건 글자 수가 140자로 제한되는 등 이용하기가 쉽고 리트윗(공유) 같은 기능으로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글을 유포할 수 있으면서도 익명성이 보장되는 트위터의 특성이 원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박 교수는 이어 “이 때문에 이용자들의 자발적인 자정 노력이 중요하다”고 했다.
박진영 기자 jy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