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28일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중앙119구조본부와 시·도 소방본부 테러대응구조대(24개대)는 화생방테러 등이 일어나면 인명구조 임무를 맡지만 각종 대테러장비가 보유기준에 못 미쳐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화생방의 가장 기본장비인 방독마스크의 경우 테러대응구조대 기준 보유량은 1200개이나 64.6%(775개)만 확보하고 있다. 화생방에서 구조자의 보호의(衣)도 기준 보유량(480개)의 33.1%인 159개뿐이다. 화학작용제 탐지기는 구조대당 1기씩 보유해야 하지만 24곳 중 4곳은 1기도 없다. 구조자 이송장치는 기준 보유량의 54%, 구조장비 운송 트레일러는 37.5%, 생물학 작용제 진단장비는 62.5% 정도만 갖추고 있다.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은 이날 세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화생방 상황에서 인명구조 대원들이 자신도 보호하지 못할 정도로 장비가 상당히 미흡하다”며 “올해 소방안전교부세 4588억원을 투입하면 부족분을 보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방위 대원 10명 중 3∼4명은 방독면을 쓸 수 없다. 화생방 상황시 주민 대피를 돕는 민방위 대원은 약 365만명이지만 보유 중인 방독면은 34.8%인 127만개다. 보호의는 3만여개가 전부다.
안전처 관계자는 “매년 방독면 10만개를 구입하지만 사용연한(5∼10년)이 지나 폐기하는 것도 많아 보유율이 크게 늘지 않는다”며 “방독면 보유율 80%를 목표로 기획재정부와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화생방전 등의 대피시설도 부실하긴 마찬가지다.
박 장관은 “전방의 경우 대부분 대피소가 설치되고 방독면과 같은 장비도 준비돼 있지만, 후방의 경우 대부분 민간 소유 건물 지하 등에 1만8500개의 대피소가 임시로 마련돼 부적절한 곳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하나에 7억원 정도인 대피소를 많이 지을 수도 없고 예산·부지도 부족해 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정우 기자 woo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