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후두염 환자는 7~8월 평균 26만5412명, 11~12월에는 이보다 2배가량인 52만9052명까지 급증했다. 후두염은 대개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1~2주 안에 완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감기로 오인해 방치하거나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 만성후두염으로 악화할 수 있다.
전문의들은 “후두염은 제때 치료하면 목소리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이를 가볍게 생각하고 방치하면 성대결절 등 음성질환으로 악화되는 경우도 생긴다”고 지적했다. 후두염은 대개 세균, 바이러스 등이 원인이다. 대부분 급성후두염으로 전체 후두염 환자 중 약 85%를 차지한다. 또 장기적인 흡연이나 위산 역류 등도 후두염의 원인으로 꼽힌다.
급성후두염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1~2주 이내에 완치된다. 그러나 후두염을 가볍게 생각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은 경우 문제가 된다. 만성후두염으로 악화될 경우 말을 하지 않을 때는 멀쩡하다가도 다시 말을 하게 될 경우 목소리가 변하거나 혹은 통증을 일으킨다.
쉰 목소리, 목소리 떨림 등 후두염으로 인한 목소리 변화가 2주 이상 이어질 경우에는 반드시 이비인후과를 찾아 정확한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염증이 생긴 성대에 휴식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 충분한 수분 섭취 및 가습기를 통해 성대를 마르지 않도록 조치하고, 카페인이나 음주 등 성대를 자극하는 물질은 최대한 피해야 한다.
프라나이비인후과 안철민 원장은 “바이러스나 세균으로 인한 후두염의 경우 평소 운동 등 건강한 생활습관 및 청결로 예방할 수 있지만, 성대 오남용 등으로 인한 후두염의 경우 성대 건강을 만성적으로 악화시키는 만큼 주의해야 한다”며 “후두염이 아니더라도 평소 갑작스러운 목소리 변화 등이 생길 경우에는 음성질환을 의심하고 빠른 치료를 하는 편이 좋다”고 조언했다.
김민순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