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日 100대기업 절반, "야근은 생산성과 무관, 초과근무 근절"

입력 : 2016-12-07 16:03:02 수정 : 2016-12-07 16:03:01

인쇄 메일 url 공유 - +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일하는 방식 개혁’에 동참한 일본 대기업들이 업무량을 줄이며 야근을 제한하는 등 ‘초과근무 상한제’를 도입하고 있다고 6일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했다.
초과근무 상한제는 기업 스스로 초과근무 허용범위를 정하는 제도로 보통 1~2시간 내외다.

신문은 지난 10월부터 11월 한 달간 100대기업 등 총 180개사를 대상으로 초과근무규제에 대한 각사의 의견을 조사해 이날 결과를 발표했다.

먼저 초과근무규제로 생산성 등 업무에 ‘지장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47%로, ‘지장 없다’고 응답한 기업 45%와 근소한 차이를 보이며 팽팽히 나뉘었다.

생산성에 지장 없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장시간 노동을 해결하기 위해 63%기업이 “업무량을 줄이겠다“고 답한 반면, 지장 있다고 답한 기업은 81%가 업무량을 줄이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어 업무에 지장을 준다고 응답한 기업 63%는 업무량을 줄인 후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자구책을 찾아 노력하겠다고 답했고, 업무에 지장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52%가 추가 방안 마련을 한다고 조사됐다.

신문은 기본급이 낮게 책정해 야근하게끔 만드는 기업문화와 야근을 미덕으로 생각한 인사제도 등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장시간 노동을 줄이기 위해 기업에서 진행 중인 방안에는(복수응답) '상사로부터 지시 또는 압력을 넣지 않는다‘가 81%로 가장 많았고, 이어 유연근무제 도입 77%, 정시퇴근문화확립, 야근 금지의 날 확산 75% 등으로 나타났다.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
사진= 요미우리신문 캡처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윤아 '청순 미모'
  • 윤아 '청순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