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기후변화에 취약한 개미의 분포 변화를 통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2007년부터 3년간 전국의 산림 365곳에서 개미의 서식분포를 분석했다. 그 결과 개미의 종별 분포 변화가 ‘온대형 패턴’에서 ‘열대형 패턴’으로 변화 중인 것으로 관측됐다. ‘온대형 패턴’은 낮은 고도에서 종수가 많고 고도가 올라가면서 종수가 줄어드는 형태다. ‘열대형 패턴’은 온대형보다 고도가 더 올라가 중간고도에서 종수가 가장 많은 형태를 말한다.
![]() |
코토쿠뿔개미와 진딧물.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
기온이 낮은 고산지대(고도 1000 이상)에서 서식하는 뿔개미류(코토쿠뿔개미·쿠로키뿔개미)는 지구온난화로 점차 줄어 2090년대가 되면 거의 사라질 것으로 예측됐다. 개미 감소는 고산지역 희귀 초본류·나비류 서식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국립산림과학원은 봤다. 이번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고산지대 종 다양성 취약성을 직접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개미 분포로 이를 증명한 경우는 세계 최초다.
세종=박찬준 기자 skyland@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