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26일(현지시간) 영국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군사자문위원회’(GMACCC)의 무니르 무니루자만 의장은 “기후변화로 회복할 수 없는 큰 전쟁이 발생할 수 있다”며 “기후변화로 발생한 난민을 막기 위해 장벽을 쌓는 식으로 대응할 경우 전쟁 위험을 키울 것”이라고 말했다. GMACCC는 전직 장성들이 기후변화로 생긴 안보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2009년 세운 단체로 영국 닐 모리세티 전 해군 제독 등이 포함돼 있다. 그간 국제기구, 시민단체가 기후변화의 위험성을 경고한 건 많았지만 군사 관련 단체가 이런 성명을 내놓은 건 이례적이다.
그는 “기후 변화에 따른 분쟁으로 외교 등 각종 국가 영역이 마비되고 있으며 전쟁 발발 개연성이 있는 지역이 점점 포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아울러 2011년부터 시작된 중동 민주화운동인 ‘아랍의 봄’과 시리아 내전 역시 가뭄에 따른 농작물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실제 캘리포니아대학의 솔로몬 샹 교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시리아 내전은 지구온난화로 심각한 가뭄이 지속된 뒤 농부들이 도시에 모여들면서 갈등이 커졌다. 이후 바샤르 알아사드 독재 정부가 민주화 세력을 탄압하고 이를 틈타 수니파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가 세력을 키우면서 걷잡을 수 없는 혼란에 빠져들었다.
전쟁으로 난민이 발생하는 게 통상적인 수순이지만 거꾸로 ‘기후 변화→난민 발생→전쟁’의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GMACCC는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분쟁 예상지역 중 남아시아의 방글라데시를 주목했다. 해수면 상승으로 2050년에 전체 영토의 20%가 가라앉으면서 수백만명의 난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제 빈민구호단체 옥스팜 역시 보고서를 통해 “매년 25만명이 중동, 인도 등으로 피난가고 있는 상황”이라며 “1m의 해수면 상승만으로 1500만명이 난민 신세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무니르 의장은 “시리아 난민 수천명의 문제도 국제사회가 풀지 못하는데, 이처럼 많은 난민이 발생할 경우 어떻게 대처할 수 있겠는가”라며 “대부분의 국가와 군이 이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고 있는데, 이제는 각 국가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 시민사회의 과제라는 관점에서 공조 체계를 갖춰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