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KBS 제공 |
'역사저널 그날'이 한국사 교과서에 빠지지 않는 '이자겸의 난'에 대한 숨겨진 이야기를 파헤친다.
12일 오후 9시 40분에 방송되는 KBS1 '역사저널 그날'은 '이자겸, 외손자에게 기습을 당하다' 편을 방송한다. 이날 방송에서는 '이자겸의 난'을 일으킨 인물이 이자겸이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진다.
이자겸은 고려의 문종-순종-선종-헌종-숙종-예종-인종 등 7명의 왕이 재위하는 동안 약 80년 동안 권세를 누렸던 인주 이 씨 가문의 일원이었다. 특히 그는 가문의 전성기 중심에 있었다. 이유는 고려 16대 왕 예종의 장인이며, 17대 왕 인종의 외할아버지이자 장인이었기 때문이다.
이자겸은 왕실에 세 딸을 시집보내고 무려 '삼겹 장인'이 됐다. 그는 자신의 처소를 의친궁이라 칭하고, 생일을 인수절이라 불렀으며, 스스로 국공에 올라 왕태자와 동등한 예우를 받았다. 당시 이자겸의 권세는 중국의 외척 간신 못지않았다.
이렇게 기세등등하던 이자겸이 왕(王) 씨가 아닌 이(李) 씨가 왕이 된다는 '십팔자 도참설'을 신봉하며 그 야심을 거북이에 새겼다. '역사저널 그날'은 강원도 원주시 법천리에 남겨진 거북 석상의 등에 가득한 '임금 왕(王) 자'의 진실을 추적한다.
고려 최고의 문벌 귀족, 이자겸의 집은 사방에서 모여든 선물로 늘 수 만근의 고기가 썩어났다. 이자겸의 가문은 남의 토지를 강탈하고 종들을 풀어 백성들의 수레와 말을 빼앗아 자기의 물건을 실어 나르는 등의 횡포를 자행했다.
백성들의 원성이 높아지자, 외손자인 인종마저 외할아버지 이자겸을 제거하기로 결심한다. 1126년 2월 밤, 인종의 은밀한 지시를 받은 군사들이 이자겸 일파를 기습했다. 외손자가 자신의 외조부이자 장인을 제거하기 위해 칼을 빼든 것이다.
하지만 거사는 실패했다. 이자겸에게는 고려 제일의 맹장 척준경이 있었기 때문이다. 거사에 실패한 인종은 왕궁을 잃고 이자겸의 사저에 감금되는 굴욕을 경험한다. 행동거지와 음식도 자유롭지 못하게 된, 사실상의 유폐 상황이었다.
인종은 이자겸의 오른팔인 척준경을 포섭하려는 계책을 생각해낸다. 마침 이자겸과 척준경 집안의 종들끼리 싸움이 일어났고, 이자겸과 척준경 사이에 갈등이 일어났다. 인종은 때를 놓치지 않고 척준경에게 밀지를 보내 이자겸을 공격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고려 사회를 통째로 흔들었던 외척 이자겸의 실체와 이자겸의 난 이후 고려의 변화는 어떻게 됐을지 시청자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슈팀 ent1@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