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기자가만난세상] 황당한 게임 서비스 종료

관련이슈 기자가 만난 세상

입력 : 2016-01-24 21:29:44 수정 : 2016-01-25 00:48:34

인쇄 메일 url 공유 - +

새해 첫날부터 날벼락 같은 소식을 들었다. 3년째 휴대전화에 깔아두고 짬이 날 때마다 하던 프로야구 매니지먼트 게임이 2월 말에 서비스를 종료한다는 것이다. 그럼 며칠 전 나타난 ‘한대화 히어로카드(능력치를 10차례 강화할 수 있는 선수카드)’는 이별의 선물이었단 말인가. 꿈에 그리던 1994년 LG트윈스 라인업의 마지막 퍼즐이 이제야 맞춰졌는데, 아! 이럴 수가.

어려서부터 온라인 게임을 해 왔지만 서비스 종료로 그만두게 된 것은 생소하고 당혹스러웠다. 이는 즐겨 찾던 맛집이 문을 닫는 것과 차원이 다른 충격으로 다가왔다. 다른 사람에겐 어떨지 몰라도 나에겐 충분히 그럴 만했다. 

유태영 사회부 기자
그동안 적은 액수라도 카드 결제로 게임머니를 구입하거나 각종 아이템을 공짜로 주는 12시30분, 6시30분, 11시30분마다 게임에 접속하려고 휴대전화 알람을 설정해 놓기도 했다. 혹여 게임 공간에서 캐릭터의 능력치 강화에 실패할세라 마음을 졸이다가 고대하던 카드가 나오면 나도 모르게 환호성도 질렀다. 그렇게 3년 동안 나름대로 온갖 정성을 기울인 캐릭터를 한순간에 잃게 될 지경에 놓였다. 이 게임에 얽힌 나의 희로애락은 이제 따로 저장해 둔 몇 장의 스크린샷을 들추거나 지나간 추억을 억지로 쥐어짜지 않고서는 마주하게 어렵게 된 셈이다. 허탈하기 그지없었다.

이 게임의 공식 인터넷카페를 들어갔더니 아니나 다를까 운영업체에 대한 이용자들의 성토가 빗발쳤다. “서비스를 중단할 거면서 12월 초 결제 이벤트(게임머니 구매 할인행사)는 도대체 왜 한 거냐.” “1년간 매일 접속하며 온갖 애정을 다 쏟았는데 어이가 없네요.” ‘결제는 간단히, 환불은 어렵게’ 식으로 소비자를 우롱하는 환불정책에 대한 분노는 덤이었다. ‘온라인 게임 폐업’에 대한 궁금증이 일어 관련 뉴스를 뒤져 봤다. 한 게임 전문매체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온라인 PC게임은 적어도 59개, 모바일 게임은 332개가 종을 쳤다고 한다. 게임업계 ‘빅4’ 업체도 상당수 게임 서비스를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를 지속할 만큼 시장에서 재미를 보지 못한 게 가장 큰 원인으로 보인다. 그러고 보니 지난해에도 ‘카카오스토리’의 원조 격인 싸이월드 때문에 작지 않은 충격을 받은 적이 있었다. 싸이월드 서비스가 대폭 개편됐는데 따로 백업해두지 않았던 쪽지와 방명록이 모두 사라졌다. PC통신 시절의 기록, 프리챌이나 아이러브스쿨 등 인터넷 초창기의 기록들도 마찬가지다. 책상 밑 신발상자에 보관돼 있는 오래전 ‘손편지’처럼 온라인 콘텐츠도 계속 남아 있을 것이란 생각은 큰 오산이었다.

각종 온라인 세계는 국내외 일면식도 없는 수많은 이용자와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즐거움과 편리함을 줬다. 하지만 그 세계의 종말은 나와 상관 없이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에게 달려 있음을 비로소 체감했다. 최근 인기리에 종영된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의 정감을 불러 일으키던 장면들이 눈에 어른거린다. 내 10∼30대 청춘의 역사에 한 페이지를 차지해 온 ‘온라인 시대’에서 느닷없이 게임 서비스 종료라는 불청객을 맞이하고 보니 정겨웠던 ‘오프라인 시대’의 풍경이 그리워진다.

유태영 사회부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임윤아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반가운 손인사'
  • 손예진 '우아한 미모'
  • '만삭' 이하늬, 아름다운 미소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