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는 6일 오전 10시 30분부터 컨실리언스홀 L29호에서 학부생 및 교직원을 대상으로 2016년 1학기부터 운영되는 UGRP 교육과정의 비전과 로드맵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를 통해 공개된 DGIST 학부생 공동연구프로그램 UGRP(Undergraduate Group Research Program)는 타대학에서 진행하는 URP 프로그램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이 융복합 연구의 바탕이 되는 협업적 연구 능력을 기르고 상호 소통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DGIST가 세계 최초로 도입한 새로운 모델이다.
DGIST 신성철 총장은 “복잡성과 급변성, 융복합으로 대표되는 21세기 글로벌 이슈를 해결할 융복합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 혼자만의 연구로는 어려운 상황이다”라며 “DGIST는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융복합 연구의 바탕이 되는 협업적 연구능력을 함양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차별화된 프로그램인 UGRP를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DGIST UGRP는 학부 3~4학년생 5명 내외가 하나의 그룹을 구성해 UGRP 위원회 제안과제(A형) 및 학생 제안과제(B형)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과학기술 관련 학제 간 연구 프로젝트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특히, 학생 제안과제는 학생들 스스로가 기초과학 및 공학, 최신 과학기술 트렌드 등을 반영한 융복합 연구 주제 기획에서부터 연구 수행 및 분석, 성과 도출에 이르는 전 과정을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구성하는 지식창출 프로젝트로 장차 학생들이 연구자로서 활동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됐다.
또 DGIST 기초학부 및 대학원 교원, 융합연구원 소속 연구원들이 2명씩 짝을 지어 모든 그룹의 공동지도교수로 참여해 학생들에 대한 교육 및 지도, 평가를 담당하며, DGIST 3~4학년 학생들은 2년 동안 학기 당 3학점씩 총 12학점을 이수할 예정이다.
UGRP는 기초과학 간의 융복합 연구프로그램 ‘프랜시스 크릭 코스’, 기초과학과 공학 간의 융합 연구프로그램 ‘장영실 코스’, 기초과학과 인문사회학 간의 융합 연구프로그램 ‘정약용 코스’, 학연산 협력 및 과학벤처 프로그램 ‘빌 게이츠 코스’ 등 4개의 코스로 구성해 학생들은 학제 간 융복합을 통한 통합적 사고력 및 협업적 연구 능력을 기르게 된다.
이날 열린 설명회에서는 위원회 제안과제 가운데 양자물질의 합성과 그 물질적 성질 탐구(프랜시스 크릭 코스), 무선 재밍 공격을 방어하는 보안 기술 연구(장영실 코스), 과학 고전 번역 및 해제(정약용 코스), 기술기반 스타트업기업들의 비즈니스 모델 수립(빌 게이츠 코스) 등 각 코스를 대표할 수 있는 연구 주제 설명과 향후 학생 제안과제를 선정해 UGRP 교육과정을 실시한다.
신성철 총장은 “지난 1년 동안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한 UGRP 위원회를 통해 내실있는 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준비했다”라며 “UGRP를 통해 학생들의 융복합 연구 역량 및 협업적 연구 능력을 강화해 DGIST가 이공계 교육의 혁신적 모델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문종규기자 mjk206@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