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현지시간) 일간 텔레그래프 등 영국 언론과 AFP통신 등에 따르면 여왕은 내달 9일 오후 5시30분께가 되면 빅토리아 여왕의 통치 기간인 2만3천226일 16시간 30분 가량을 넘어서게 된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고조모인 빅토리아 여왕은 1837년 6월 왕위를 물려받은 후 1901년 1월 세상을 뜰 때까지 63년 이상 영국을 다스려 현재까지 최장수 통치 군주로 기록돼 있다.

이듬해 6월 웨스트민스터 성당에서 열린 대관식을 TV 중계로라도 보려는 사람들이 늘면서 이 즈음 TV 판매가 급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즉위 전인 1947년 필립공과 결혼한 여왕은 찰스 왕자와 앤 공주, 에드워드 왕자까지 모두 4명의 자녀를 두었다.
1981년 찰스 왕자와 다이애나의 결혼으로 영국 왕실의 인기는 어느 때보다 높아졌으나 10년 후인 1992년 여왕의 표현대로 '최악의 한 해'를 보내게 된다. 찰스와 앤드루 왕자, 앤 공주가 모두 이혼하고 윈저궁에 큰 화재가 발생한 것이다.
이어 1997년에는 다이애나가 프랑스 파리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했는데, 이때 여왕이 가족끼리만 추모 행사를 갖고, 버킹엄궁에 조기(弔旗)를 달지 않았다는 이유로 거센 비난을 받기도 했다.
이러한 우여곡절 속에서 2002년 즉위 50주년, 2012년 60주년을 차례로 기념했다.

여왕이 통치한 63년간 영국도 많은 일을 겪었다.
여왕 즉위 당시 2차 대전 복구에 한창이던 영국은 1970년대 경기 침체로 고전했고, 그 무렵 북아일랜드 유혈 내전사태가 이어지기도 했다.
또 1980년 영국령이던 짐바브웨가 독립하는 등 여왕 재위 기간 40개 이상의 식민지 국가들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했다.
영국의 현대사와 함께 한 엘리자베스 여왕은 지금까지 모두 265번 공식 외국방문을 통해 모두 116개국을 방문하며 왕성한 대외활동도 펼쳤다.
캐나다에 24회, 호주에 16회, 뉴질랜드에 10회 방문했으며, 1999년 김대중 전 대통령의 초청으로 방한하기도 했다.
텔레그래프는 최장수 군주가 되는 내달 9일 여왕이 '야단법석' 떨지 말고 평소처럼 보내자고 했으나 윌리엄 왕세손 부부를 비롯한 가족들과 영연방 국가들이 어떤 식으로든 이를 기념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