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WT논평] Step aside, Great Helmsman, Big Daddy is here

관련이슈 WT사설-논단

입력 : 2015-08-11 21:14:46 수정 : 2015-08-11 21:14:46

인쇄 메일 url 공유 - +

By Steven W. Mosher (president of the Population Research Institute) Elected as the general secretary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less than three years ago, Xi Jinping now stands unchallenged at the top of China’s power pyramid. Mr. Xi controls not only the party as general secretary, but also the government as president, and the People’s Liberation Army (PLA) as chairman of the Central Military Commission. The collective leadership practiced by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PRC) since the death of Chairman Mao is largely a thing of the past.

In a ploy familiar to students of one-party dictatorships, Xi Jinping has used the pretext of an anti-corruption campaign to purge supporters of his predecessors, Hu Jintao and Jiang Zemin. This, more than anything else, makes it clear to their respective factions ― and to everyone else in China, for that matter ― that their one-time patrons no longer have the power to protect them. Astonishingly, even Mr. Jiang’s own sons have fallen victim.

If this were all Mr. Xi had done, he could be compared to Deng Xiaoping, who had the hapless Hua Guofeng removed as Chinese Communist Party chairman back in 1978, or Jiang Zemin, who insisted that his Politburo contemporaries retire after Deng’s death so as to clear the field for his unfettered rule. But Mr. Xi seems to be harking back to an earlier model of leadership.

His personality cult already rivals that of the Great Helmsman ― he is known as Big Daddy Xi to his adoring public ― and several books of his speeches and sayings have already been published a la Mao and have sold millions of copies. Mr. Xi’s benignly smiling visage can be seen everywhere, as Mao’s once was. He is a fixture on the front pages of party newspapers. He beams down from posters that people put up in their living rooms. His face even adorns the red-tasseled good luck charms that people hang from the rear-view mirrors of their cars, as if he were the new patron saint of road safety.

Under Mr. Xi’s rule, the Chinese people are not waving “The Quotations of President Xi” in the air or dancing in the streets, as they did under Mao. At least not yet. But the level of public adulation, stoked by the state media, is in the rise. And people are singing Big Daddy’s praises, so far voluntarily.

One song that has gone viral is called “China has produced a Big Daddy Xi.” As every living Chinese knows, this is a riff on “The East is Red,” which begins with the line, “China has produced a Mao Zedong.” It is clear to this China watcher that China’s new emperor is self-consciously modeling himself on the “first emperor” of the PRC dynasty, Mao Zedong.

시진핑의 개인숭배와 독재 구축

스티븐 무어(美 인구연구소 총재)


중국 공산당 총서기로 선출되고 3년도 채 안 된 시진핑은 현재 중국의 권력 피라미드의 정상에서 도전을 받지 않는 위치에 서 있다. 그는 총서기로서 당만 통솔하는 것이 아니라 또한 주석으로서 정부도 통제하며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으로서 인민해방군을 통솔한다. 주석 마오 사망 후 중화인민공화국이 시행했던 집단지도체제는 대부분 과거지사가 되었다.

일당 독재체제 학생들에게 친숙한 수법으로 시진핑은 자기 전임자들인 장쩌민과 후진타오를 지지하는 사람들을 숙청하기 위해서 반부패운동을 핑계로 이용한다. 이것은 무엇보다도 각 파벌 구성원들과 중국의 모든 사람들에게 한때 자기네를 후원했던 사람들이 이제는 그들을 보호할 힘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 놀랍게도 장의 아들들조차도 희생자로 전락했다.

만약 이 모든 것을 시진핑이 행했다면 그는 1978년에 불운했던 화궈펑을 공산당 주석 직에서 제거했던 덩샤오핑이나 덩이 죽은 뒤 제약 없는 통치의 독무대를 마련하기 위해서 자신의 동년배 정치국원들의 은퇴를 주장했던 장쩌민과 비교될 수 있다. 그러나 시진핑은 더 먼 과거의 지도자 모델을 기억하는 듯이 보인다.

그의 개인숭배는 이미 ‘위대한 조타수’ 마오쩌둥에 필적하고 있으며, 그의 연설문과 발언을 엮은 책 몇 권은 마오와 같은 식으로 출판되어 수백만 권이 팔렸다. 그를 추앙하는 일반사람들은 시진핑을 아버지를 뜻하는 ‘시 다다’라고 부른다. 온화한 미소를 짓는 시진핑의 얼굴을, 과거 마오의 경우처럼 어디서나 볼 수 있다. 시진핑은 당 기관지의 앞 페이지에 고정적으로 보도된다. 사람들이 거실에 붙이는 포스터에는 환하게 웃는 그의 모습이 담겨 있다. 그의 얼굴은 심지어 붉은 장식용 술이 달린 부적에도 들어가 있는데, 사람들은 그가 교통안전의 새로운 수호성인이라도 되는 것처럼 이 부적을 승용차의 백미러에 달아놓는다.

시진핑 통치체제 아래서 중국인들은 마오 통치하에서 그랬던 것처럼 ‘시진핑 어록’을 높이 들고 흔들거나 혹은 거리에서 춤을 추지는 않는다. 적어도 아직까지는 그러지 않는다. 그러나 국영 언론매체들이 불을 지피는 대중의 찬양수위가 올라가고 있다. 또한 중국인들은 다다 찬양가를 지금까지는 자발적으로 부르고 있다.

유행이 되고 있는 찬양가 가운데 하나는 제목이 ‘중국이 시 다다를 탄생시켰다’이다. 살아 있는 모든 중국인들이 알고 있는 것처럼 이것은 “중국은 마오쩌둥을 탄생시켰다”란 구절로 시작되는 ‘동방홍’의 되풀이다. 중국의 새로운 황제는, 중화인민공화국 왕조의 ‘초대 황제’ 마오쩌둥을 의식적으로 본받고 있다는 사실이 중국 관측통인 필자에게 분명해 보인다.

역주=오성환 외신전문위원 suhwo@segye.com

▲The East Is Red:동방홍, 문화혁명 당시 사실상 중국의 국가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다미 '완벽한 비율'
  • 김다미 '완벽한 비율'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윤서연 '청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