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1 ‘세계의 눈’ 규모 7을 넘는 강진, 50도를 넘어가는 폭염, 초속 90m로 몰아치는 슈퍼 태풍,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 같은 대형 화산…. 21세기 들어 지구는 각종 천재지변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더욱 우려되는 것은 이 같은 재해에 ‘사상 최악의’, ‘기록적인’, ‘수백년 만의’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는 점이다. 이상 기후 현상이 나날이 강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
21세기 들어 지구는 온난화로 인한 슈퍼태풍, 폭염, 한파 등 기록적 기상이변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EBS 제공 |
최근 8000명이 넘는 사망자를 낸 네팔 지진과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칠레와 미국 서부에서의 잦은 지진은 모두 ‘불의 고리’라 불리는 환태평양지진대에서 발생했다. 환태평양지진대에서 멀지 않은 한국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 백두산 폭발 위험 경고도 몇 년 전부터 계속되고 있다. 태풍의 힘 또한 점점 강력해져 피해규모가 커지고 있다. 지구의 대기, 바다, 땅은 하나로 이어져 영향을 주고받는다. 그 영향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고, 그 결과로 나타난 대형 재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EBS1 ‘세계의 눈’은 24일부터 한 달 동안 매주 일요일 오후 4시45분 방송되는 ‘위기의 지구’를 통해 급변하는 지구에서 살아남기 위해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알아본다.
첫 방송에서는 전 세계 기상이변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지구온난화를 살펴본다. 2013년 겨울 영국은 250년 만에 최악의 홍수를 겪었다. 같은 기간 미국 캘리포니아는 500년 만에 최악의 가뭄을, 미 중서부와 동부는 기록적인 한파를 겪었다.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난 기상이변의 근본 원인은 지구온난화였다. 북극의 찬 공기를 막아주는 제트기류가 온난화 영향으로 남하하면서 일어난 현상이라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지구온난화로 대기온도가 올라가면 기상이변 역시 더 잦아질 거라고 경고한다. 하지만 통계에 따르면 2000년 이후 대기온도는 거의 오르지 않았으며 지구온난화는 일시적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김희원 기자 azahoi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