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세금문제 잘못 건드렸다가 선거에서 고전

입력 : 2015-01-21 19:25:43 수정 : 2015-01-21 22:11:42

인쇄 메일 url 공유 - +

노무현 정부, 종부세로 원성 시달려
2006년 지방선거·2007년 대선 패배
세금문제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항상 권력자의 ‘아킬레스 건’이었다. 세금문제를 잘못 건드렸다가 정권이 몰락되거나 교체되는 경우는 수두룩했다.

역대 정부 중 대표적인 ‘조세저항’의 사례는 부가가치세를 둘러싸고 벌어졌다. 상품가격의 10%를 세금으로 걷어간 부가가치세는 박정희정부 시절인 1977년 도입됐다. 갑자기 상품가격이 오르면서 민심은 박정희 대통령에게 등을 돌렸다. 1년이나 지난 1978년 12월 총선에서 집권여당 공화당은 야당인 신민당에게 사실상 패배했는데 그 이유 중 하나로 부가가치세 도입이 꼽힌다. 더 나아가 조세저항은 다음해 부마민주항쟁에까지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박 전 대통령이 사망한 10·26 사건의 원인 중 하나가 부마민주항쟁이라는 점을 보면 부가가치세 도입이 박정희정부의 몰락에 직간접으로 기여한 셈이다.

참여정부 시절 도입한 종합부동산세도 노무현 전 대통령의 명운을 좌우했다. 2005년 첫 도입 후 납세 대상이 된 강남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거센 저항이 일었다. ‘세금폭탄’이라는 빗발치는 원성이 쏟아졌다. 민심은 2006년 지방선거와 2007년 대선에서 잇따라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에 대승을 안겨주며 참여정부를 심판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증세 없는 복지’정책은 박 대통령이 조세저항의 위력을 직접 겪어봤기 때문에 나온 정책이라는 분석도 있다. 박 대통령은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에는 퍼스트레이디로 부가가치세 도입 과정을 지켜봤고, 노 전 대통령 시절에는 한나라당 대표로 ‘세금폭탄’ 공세를 직접 이끌었다. 조세저항의 무서움을 잘 알는 박 대통령이기에 증세 없는 복지정책을 내놓았지만 결국 이 공약을 지키려다 역설적으로 조세저항에 직면한 셈이다. 최창렬 용인대 교수는 21일 “꼼수로 비쳐질 수 있는 조세정책은 한계가 있다”며 “사실상 증세가 되어버리니 (기존 설명은) 말장난이 될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이도형 기자 scop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신은수 ‘심쿵’
  • 신은수 ‘심쿵’
  •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
  • 김태희 ‘눈부신 미모’
  • 임윤아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