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軍, 통영함 성능시범···'불량 소나'로 소해함 탐지 맡아

입력 : 2014-11-26 17:33:21 수정 : 2014-11-26 17:35:10

인쇄 메일 url 공유 - +

통영함(자료사진)

“옹진함! 침선(침몰선박)위치 도착, 정밀유도 바람!”(통영함)
“표적위치 통영함으로부터 270도, 5m, 유도침로 270도. 이상”(옹진함)

26일 오후 12시30분 부산 해군작전사령부 남서방 20㎞ 해상. 이날 오전 5시 폭풍주의보가 해제된 해상엔 너울이 넘실거리는 가운데 수상함구조함 통영함은 기뢰제거함 옹진함과 무선통신을 주고 받았다. 

길이 107.5m로 천안함과 비슷한 크기지만 3배 가량(3500t) 무거운 통영함은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자동함위유지장치(트러스트) 덕에 민첩하게 수m씩 움직였다.

잠시 후 “온 탑(On Top)”이란 목소리가 통영함으로 전해졌다. 수중에 침몰한 선박 바로 위에 통영함이 정확하게 자리를 잡았다는 뜻이다.

구조함은 본체에 장착된 음파탐지기(선체 장착 소나, Hull Mount Sonar)를 이용해 스스로 작업 위치를 찾는다. 하지만 통영함은 옹진함의 도움을 받아 움직일 수밖에 없었다. 사고 해역에 도착한 뒤, 눈을 감은 상태로 옆 사람이 “앞으로 몇 걸음, 왼쪽으로 몇 걸음”하는 소리에 맞춰 정확한 위치를 찾는 모양새였다. 통영함 건조 과정에서 납품비리 의혹으로 어군탐지기 수준의 HMS가 장착돼 스스로 목표물을 찾을 수 없어서다. 일반적으로 수중 구조 작업은 소해함과 구조함이 동시에 투입돼 진행하지만 군이 통영함을 인수할 경우 새로운 HMS를 장착할 때까지는 소해함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
 
해군과 통영함 제작사인 대우해양조선은 이날 방위사업 비리 태풍의 핵심에 놓여 있는 통영함의 성능과 수중 선체 구조 진행과정을 전격 공개했다. 좌초된 함정을 끌어내고(이초), 인양, 예인, 잠수지원 등 수상구조함의 주요 작업들은 정상적으로 진행됐다.
 
그러나 HMS는 지하 3층의 소나 장비실만 공개했을 뿐 전원조차 공급하지 않았다. 함정 후방에서 수중 작업 상황을 지시하는 구조지휘소의 10여개 모니터 가운데 HMS 모니터는 꺼져 있었다. 이정재 방위사업청 상륙함사업팀장(해군 대령)은 “현재 달려있는 HMS는 상용장비 수준이어서 군사용으로는 도저히 사용할 수가 없다”며 “납품 계약을 해지하고 반납할 것이기 때문에 가동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방사청과 군은 통영함에서 HMS를 탈거해 반납한 뒤 새로운 제품을 구매하기로 했다. 납품 공고에 이어 계약자 선정→계약→제작→장착→시험→정상 가동을 위해선 2년 가량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날 공개된 통영함의 탑재장비 중 HMS와 수중무인탐사기(ROV)에 장착된 초음파 카메라를 제외한 다른 장비들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박정식 통영함 함장(중령)은 “구조함의 핵심인 잠수장비와 인양을 위한 크레인, 다른 함정이나 선박을 끌어당기는 유압권양기(1분에 2m 이동) 등 160여개 장비들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며 “지난해 실시한 92가지의 시험평가에서도 HMS와 ROV초음파 카메라를 제외한 다른 항목은 모두 통과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이날 잠수사들이 수심 91m까지 내려갈 수 있는 잠수사이송장치와 감압장치인 챔버, ROV에 장착된 광학카메라, 100m 이상 물을 뿌려 불을 끌 수 있는 소화건 등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양현 앞으로 전속력!”이란 박 함장의 지시가 내려진 직후 통영함은 23노트(43㎞)로 물살을 헤쳤다. 박 함장은 “통영함은 6000마력의 디젤 엔진 4개가 탑재돼 최고 21노트(39㎞)의 속력을 내도록 설계되어 있다”며 “설계한 것보다 더 속력을 낼 수 있고, 진해에서 출발할 경우 가장 먼 거리인 백령도까지 20시간안에 도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미사일처럼 생긴 본체를 함정이 끌고 다니며 좌우 각각 폭 300m의 해저를 촬영할 수 있는 사이드스캔 소나 역시 선명한 화질을 보여줬다.

다만 유압권양기와 사이드스캔 소나는 대우해양조선 직원들이 작동했다. 이종대 대우해양조선 특수선 사업팀장은 “아직 군에서 인수하지 않아 소유권이 대우해양조선에 있는 만큼 주요 장비들은 회사 직원들이 다루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시연에 나선 115명의 함정 승조원들은 함정이 아닌 경남 거제시 대우해양조선 부두에 마련된 임시 거처에서 숙식을 해결하고 있다.

이병권 해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장(소장)은 “HMS와 ROV초음파 카메라가 없어도 퇴역시기를 이미 넘긴 광양함보다 훨씬 뛰어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며 “광양함의 주요 장비들이 노후화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하면 통영함 인수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올해 말 퇴역하는 광양함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통영함을 해군에 인도하고 부족한 성능은 추후 보완하는 방안을 28일 합동참모회의에 상정할 예정이다.

부산=국방부 공동취재단,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