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지난 11∼17일 시민 511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80.5%(411명)가 우리 사회가 성폭력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성폭력 피해 노출 경험 중에선 음담패설과 성적 비유 같은 언어적 성희롱을 당했다고 답한 사람이 51%(261명, 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통신매체를 이용한 음란물 수신(222명), 성기노출 목격(130명), 공중장소 성추행(105명) 피해도 컸다.
성폭력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27.4%(143명)가 가해자에 대한 가벼운 양형제도를 꼽았으며 성윤리 의식 부재(18.2%), 남성 우위의 권위적 문화(11.3%)가 뒤를 이었다.
성폭력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 중 가장 큰 문제로는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편견과 낙인(26.4%)을 꼽았다.
피해자에 대한 편견으로는 '피해자가 성폭력 상황을 유발했다', '피해자가 조심했어야 한다' 같은 인식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27.8%(145명)가 생애주기별 성교육을 꼽았으며 가해자에 대한 확실한 처벌(23%)이 뒤를 이었다.
또 청소년성문화센터 등 현장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현장 대응의 어려운 점을 설문한 결과 22%(50명)가 '문제를 은폐하거나 축소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박태훈 기자 buckba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