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급 불균형 심화… 中 수출 길도 막혀

원유가격 연동제로 원유 가격이 정해진 탓에 우윳값을 내리지 못하는 업체들은 잉여 원유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우유 수급 불균형이 심각해지면 최악에는 ‘원유 파동’에 이를 수도 있다는 위기의식도 커지고 있다.
8일 낙농진흥회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과 4월 전국 총 원유생산량은 각각 19만4326t과 19만2261t이었다. 지난해 3월의 18만2950t과 4월의 18만2249t보다 각각 6.2%, 5.5% 증가했다.
3월 생산량은 2008년 5월(19만3186t) 이후 6년 만에 최고 수준이었다. 유가공업체가 계약 농가에서 가져온 원유를 제품으로 만들고 남은 부분을 말려 보관하는 분유 재고량은 11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4월 분유 재고(월말 분유재고를 원유로 환산한 양)는 18만5856t으로 2003년 6월(17만9506t)이후 가장 많았다. 작년 4월(12만928t)과 비교하면 53.7% 늘었다. 지난해 도입한 원유가격 연동제로 원유 생산량 변동에 따른 가격 조정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흰 우유의 중국 수출 길도 일시적으로 막혔다. 지난달부터 중국 정부가 유제품 수출업체등록제를 시행하면서 수출업체 등록을 신청한 국내 우유업체 48곳 중 6곳이 등록보류 판정을 받았다.
김기환 유통전문기자 kkh@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