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안전특별시' 모토…안전 예산 2조원 추가확보 추진
세월호 참사前 부상 개발논쟁은 일단 2선서 저강도 공방 6·4 지방선거 서울시장을 놓고 맞붙은 새누리당 정몽준, 새정치민주연합 박원순 후보는 16일 안전 공약을 놓고 정면으로 격돌했다.
세월호 참사가 발생하기 전 용산 국제업무지구 추진을 포함한 각종 개발 사업에 대한 두 후보의 뚜렷한 노선 차이로 개발 공약 이슈가 전면에 부상했지만, 세월호 참사는 공약 전쟁의 주 전선을 안전 문제로 옮겨 놓았다.
특히 이날 정 후보가 지하철의 공기질 실태 파악을 위한 합동조사기구를 제안하고 박 후보가 이에 전격 응하면서 선거 초반 최대 이슈로 떠오를 전망이다.
정 후보는 이날 국회 기자회견에서 "한국대기환경학회 발표 결과 1급 발암물질인 초미세먼지는 1호선 수원역과 청량리역 사이 모든 역에서 '매우 나쁨' 수준으로 검출됐다"면서 "초미세먼지는 세계보건기구(WHO)가 1급 발암 물질로 규정한,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는 물질로 당장 지하철의 공기질 조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1천만 서울시민들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수단인 지하철의 안전을 책임지겠다는 공약이다.
"(지하철) 초미세 먼지가 어린아이와 아토피 환자에게 특별히 위험하다"며 "유모차를 끌고 지하철을 타는 엄마들과 시민들"을 위한 공약이라고 강조한 것도 '앵그리 맘'(분노한 엄마)들의 안전불안 정서를 달래겠다는 전략적 접근으로 보인다.
이에 뒤질세라 박 후보도 12개 핵심 공약을 담은 정책공약집을 발표하면서 '안전특별시 서울' '어린이 안전도시 서울'을 머릿 공약으로 내세우고 '안전 시장'을 표방했다.
안전 예산 2조원을 추가 확보해 지하철 노후차량과 노후시설을 전면교체하고, 또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사망사고 제로화, 등하교 어린이 안전위한 초등학교 스쿨 버스 도입 공약도 내놓았다.
특히 정 후보가 제안한 지하철 공기질 조사를 위한 합동조사기구 구성 제안에 " 당장에라도 양쪽에서 추천하는 전문가로 공동조사를 시행하자"며 즉각 수용 의사를 밝혔다. 초미세먼지를 앞으로 4년간 20% 이상 감축하겠다고도 약속했다.
안전 공약 경쟁이 민심을 붙잡는 주 전쟁터가 되고 있지만, 개발 논쟁도 계속 이어졌다.
박 후보를 "잔소리만 하는 시장"으로 규정한 정 후보는 '잠자는 서울을 깨우겠다'며 개발 공약도 빼놓지 않고 있다.
특히 창동차량기지 이전, 동부간선도·강변북로·올림픽대로 일부 지하화, 뉴타운사업 선별적 추진, 서울∼칭다오·상하이 뱃길 조성, 뚝섬·광나루·여의도·반포 백사장 조성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박 후보는 정 후보의 개발 공약에 대해 "70년대식 토건 경제"라면서 '인본 행정'의 슬로건으로 맞섰다. 정책 발표회에서 "과거 고속성장의 경험 속에서 놓친 가치, 시민의 삶과 생명을 시즌2에도 중심에 놓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여기에 안심주택 8만호·소형주택 20만호 공급 지원, 현장 사회복지인력 2배 확충, 여성 일자리 10만개 창출, 지역거점 사회적경제클러스터 12개 조성 등을 차별화 포인트로 삼고 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