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부도 “안전장치 없다” 증언 터키 소마 탄광폭발 사고는 안전불감증이 빚은 ‘예고된 인재(人災)’라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 매체 크리스천사이언스모니터(CSM)는 13일(현지시간) 터키가 산업화된 나라들 가운데 광산 사고가 가장 빈번한 국가라면서 정부여당이 ‘안전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요구를 묵살했다고 보도했다. 현지 야당이 이미 지난해 10월 소마 탄광의 안전상태를 정밀점검하자는 안건을 내놨지만 사고 발생 20일 전 집권 정의개발당 반대로 부결됐다는 것이다. 외즈귀르 외젤 터키 야당의원은 “(소마에서는) 석 달에 한 번꼴로 인명사고가 발생한다”며 “최근 수년간 적발된 66건의 탄광 안전 위반 사례에 부과된 벌금도 전혀 없었다”고 주장했다.
소마 탄광은 2005년 민영화 이후 이익 규모가 크게 증가했는데, 이는 광부들의 목숨과 안전을 담보로 한 것이라는 비판도 있다고 현지 일간 휴리예트가 전했다.
사고 뒤 탄광 측은 “높은 안전기준이 적용됐고 지속적인 관리가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곳 광부인 옥테이 베린은 “지하에는 우리를 보호할 만한 장치나 시설이 하나도 없다”며 “회사는 돈만 밝히고 노조는 사측의 애완견일 뿐”이라고 성토했다.
터키 정국도 급속히 요동치고 있다. 특히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총리의 대권가도에 비상등이 켜졌다. 그는 2010년 28명이 숨진 종굴닥주 탄광 사고 당시 “광부 사회에서 그런 죽음은 숙명”이라고 했다가 반발을 산 바 있다. 정부여당의 안전 불감증에 더해 4년 전 실언이 정치쟁점화할 수 있다는 얘기다.
14일 트위터에서는 ‘사고가 아닌 살인’(kazadegilcinayet)이라는 뜻의 터키말에 해시태그(#)를 단 글이 잇따라 올라왔다.
유태영 기자 anarchy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