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창조경제의 발전과 지방3.0의 구현에도 빅데이터는 유용한 수단이다. 하지만 지자체 및 산하기관이 보유한 공공데이터는 크기 면에서 보면 빅데이터가 아닐 수 있다. 이에 데이터 양은 적지만 그 지역에서만 얻을 수 있는 지역 밀착형 데이터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지자체별로 인구통계학적 데이터만 제대로 분석해도 고령화, 다문화, 부동산, 인구유입 등 지역별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정책을 구체화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빅데이터 기반의 도시 관리가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 |
한경록 광주발전연구원 부연구위원 |
지금 지자체에 대한 빅데이터 정책에서 필요한 것은 ‘넛지’이다. 넛지는 팔꿈치로 슬쩍 찌른다는 뜻으로, 강요에 의하지 않고 유연하게 개입함으로써 선택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무엇을, 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로드맵을 그려보는 시간을 지자체에 줘야 한다. 최소한의 데이터 카테고리를 정리해 체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일이 선행돼야 한다. 그래야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
향후 17개 시·도에 개설 예정인 창조경제혁신센터에 빅데이터지역자문위원회와 같은 조직을 상설화해 지역 주력산업의 서비스화와 신규 서비스업의 창업을 지원하는 역할 부여를 고려해 봄 직하다. 생계형 창업이 아닌 빅데이터 기반의 혁신형 창업을 돕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창조경제의 버전은 지자체마다 각각 다를 수 있고, 이들 전체의 합이 국가 창조경제의 성공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형성된 빅데이터 온기가 지자체 곳곳에 전달돼야만 창조경제 실현도 앞당겨질 것이다. 빅데이터는 금융, 통신, 유통, 제조 등 기존산업을 고도화하는 도구이자, 그 자체로서 산업화해 신시장 창출이 가능한 자원이다. 빅데이터가 어제오늘의 유행이 아닌 데이터경제 시대의 동력으로 작동하길 바란다.
한경록 광주발전연구원 부연구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