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기고] 빅데이터 지역경제활성화 동력으로 활용하자

관련이슈 기고

입력 : 2014-03-27 22:12:16 수정 : 2014-03-27 22:25:09

인쇄 메일 url 공유 - +

박근혜정부의 핵심 정책기조인 창조경제의 실체를 명확히 규정지을 수 있는 용어 중 하나가 ‘빅데이터’다. 빅데이터란 양이 방대하고 형식이 다양하며 생성속도가 빠른 데이터를 말하는데, 미래창조과학부에서는 빅데이터 활용강국 도약을 위해 산업 발전전략을 마련하고 수요, 공급, 인프라 측면에서 세부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의료·건강, 과학기술, 정보보안, 제조·공정, 소비·거래, 교통·물류 등 6대 주요산업 분야에서 선도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는 계획이다.

지역 창조경제의 발전과 지방3.0의 구현에도 빅데이터는 유용한 수단이다. 하지만 지자체 및 산하기관이 보유한 공공데이터는 크기 면에서 보면 빅데이터가 아닐 수 있다. 이에 데이터 양은 적지만 그 지역에서만 얻을 수 있는 지역 밀착형 데이터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지자체별로 인구통계학적 데이터만 제대로 분석해도 고령화, 다문화, 부동산, 인구유입 등 지역별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정책을 구체화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빅데이터 기반의 도시 관리가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한경록 광주발전연구원 부연구위원
국가 차원의 시장창출과 산업적용도 중요하지만 지자체에서도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지역 주력산업에 접목할 수 있도록 정부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정부 차원에서 구축한 분석 플랫폼을 각 지역에서 범용적으로 활용하도록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지역이 가진 공공데이터의 특성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교통사고 감소, 자살 방지, 수출 증대, 농수산물 유통 개선 등 각 지자체에서 선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하다. 해당 지역의 지리적, 경제적, 문화적 여건에 따라 특화된 분석 과제의 도출이 가능하다. 문제는 현안 해결에 필요한 데이터가 어느 한 곳에 보기 좋게 모여 있지 않다는 것이고 여러 부서 간, 기관 간의 데이터를 통합해야만 풀리는 문제가 상당수다.

지금 지자체에 대한 빅데이터 정책에서 필요한 것은 ‘넛지’이다. 넛지는 팔꿈치로 슬쩍 찌른다는 뜻으로, 강요에 의하지 않고 유연하게 개입함으로써 선택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무엇을, 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로드맵을 그려보는 시간을 지자체에 줘야 한다. 최소한의 데이터 카테고리를 정리해 체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일이 선행돼야 한다. 그래야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

향후 17개 시·도에 개설 예정인 창조경제혁신센터에 빅데이터지역자문위원회와 같은 조직을 상설화해 지역 주력산업의 서비스화와 신규 서비스업의 창업을 지원하는 역할 부여를 고려해 봄 직하다. 생계형 창업이 아닌 빅데이터 기반의 혁신형 창업을 돕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창조경제의 버전은 지자체마다 각각 다를 수 있고, 이들 전체의 합이 국가 창조경제의 성공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형성된 빅데이터 온기가 지자체 곳곳에 전달돼야만 창조경제 실현도 앞당겨질 것이다. 빅데이터는 금융, 통신, 유통, 제조 등 기존산업을 고도화하는 도구이자, 그 자체로서 산업화해 신시장 창출이 가능한 자원이다. 빅데이터가 어제오늘의 유행이 아닌 데이터경제 시대의 동력으로 작동하길 바란다.

한경록 광주발전연구원 부연구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임윤아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반가운 손인사'
  • 손예진 '우아한 미모'
  • '만삭' 이하늬, 아름다운 미소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