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관광객 70% 객실 부족으로 호텔 예약 실패
제주 외국인 관광객 급증…숙박난 지속 전망
연초 우근민 제주지사는 문화와 예술을 접목한 관광지 조성을 통해 한 해 제주 관광객 2000만명 시대를 천명했다. 그리고 올해 제주도 관광객 유치 목표 역시 지난 해 보다 6% 높은 1150만명으로 잡은 상태다. 과연 관광객 2000만 시대를 맞아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숙박시설의 증가가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을 지속적으로 유치하기 위해서는 호텔 개발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실제 최근 관광지식정보시스템의 외래 관광객 실태조사(2012년)에 따르면,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의 88%가 호텔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호텔 객실 잡기는 하늘에 별 따기 보다 어렵다. 호텔협회가 밝힌 지난 2011년 신제주 연동 소재 20개 호텔의 평균 객실 가동률은 66%. 하지만 2012년에는 14% 포인트 증가한 80% 기록했다. 객실 10개 중 8개가 운영되고 있다는 것이다.
제주도 호텔 객실 부족 현상은 통계에서도 바로 확인된다. 지난해 한국관광공사가 여행사 440곳과 해외 개별여행객 4099명을 대상으로 ‘외래관광객 숙박예약 실패’ 조사를 한 결과 예약실패 이유로 94%가 ‘객실 부족’을 이유로 들었다.
특히 서울과 제주의 경우 각각 85%와 70%가 객실이 부족해 예약을 실패한 경우라고 답해 이들 지역의 숙박시설 부족문제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관광협회가 밝힌 지난 해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총 1천85만4125명. 역대 최다로 목표치 였던 1050만명은 뛰어 넘었고 2012년(969만1703명)대비 12% 증가했다. 이 가운데 외국 관광객의 증가가 눈에 띈다. 지난 해 제주를 찾은 외국인은 233만2703명으로 관광객의 21% 이상을 차지하는 등 그 비율은 매년 증가 추세다.
특히 지난 2010년 도입된 부동산 투자이민제도로 중국인 관광객의 방문은 가히 폭발적이다. 2009년 당시 25만8414명이 제주를 찾았다면, 부동산 투자이민제가 시행된 2010년에는 두 배 가까운 40만6164명이 방문했다. 지난해는 2012년보다 67% 이상 증가한 181만1869명이 제주를 찾았다. 부동산 투자이민제 시행 전보다 일곱 배 이상 중국인의 제주 방문이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도내에 숙박시설 건립 바람이 불고 있지만 선호도 높은 호텔 공급은 충분치 않는 상황이다. 세움터 자료에 따르면 2012~2013년 하반기까지 제주에서 건축허가를 받은 숙박시설의 면적은 315㎡. 강원도 건축허가 면적(343㎡)보다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제주 호텔1번지로 통하는 연동의 경우도 지난 해 숙박시설 8곳이 착공에 들어간 상태지만 대부분 모텔 수준.
외국인 관광객이 선호하는 연면적 1만㎡ 이상 호텔은 ‘제주 센트럴시티 호텔’과 ‘신라스테이 제주 호텔’ 2곳에 불과했다.
두 호텔 모두 중국인 관광객이 필수 관광코스로 꼽는 신라면세점과 바오젠로를 지척에 두고 있다. 제주 센트럴시티 호텔의 경우 호텔 운영 및 관리를 특1급 호텔인 제주 그랜드 호텔에서 할 예정에 있어 앞으로 특급 호텔 수준의 서비스가 기대되는 호텔이다.
제주 센트럴시티 호텔은 최근 수익형 부동산시장에서 신 투자상품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분양형 호텔이다. 객실은 일반에게 분양하지만 호텔 운영을 전문 운영사가 맡고 이익을 계약자에게 돌려주는 것이다. 2016년 1월 오픈 예정으로 계약자에게 실투자금 대비 연 10% 확정수익을 1년간 보장해 준다(시행위탁사 퍼스트건설).
이와 함께 신라스테이는 2015년 오픈 예정이며 일반에게 분양하지 않는 자체사업으로 호텔신라에서 운영할 예정이다.
강태욱 하나은행 부동산팀장은 “제주도가 앞으로 장기 체류형 관광상품을 개발 하는 등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온 힘을 쏟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이들이 선호하는 호텔 공급은 쉽지 않는 상황이기에 숙박난은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