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경제연구원은 19일 '오프라인 유통, 쇼루밍족 쫓지 말고 끌어안아야'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주요 선진국 유통업체가 위기를 겪는 원인으로 쇼루밍족의 증가를 꼽았다.
2009년 파산한 미국의 전자제품 체인인 '서킷 시티'나 올해 초 도산한 영국의 비디오 대여업체인인 '블록버스터' 등을 예로 들었다.
보고서는 "컨설팅 업체 베인 앤 컴퍼니 분석으로는 특정 제품군에서 온라인 점유율이 15∼20%가 되면 티핑 포인트(균형을 잃고 극적인 변화가 이뤄지는 순간)가 된다"며 "서킷 시티는 PC시장의 온라인 비중이 54%일 때 파산했고 블록버스터는 비디오의 온라인 비중이 17%일 때 문을 닫았다"고 소개했다.
미국의 유통업체인 '베스트 바이'는 한때 쇼루밍을 막고자 제품 바코드 체계를 바꾸기도 했으나 작년부터는 소비자가 온라인에서 유통되는 더 싼 제품을 제시하면 가격을 그 수준에 맞춰주는 제도를 도입했다.
보고서는 "쇼루밍은 이제 자연스러운 쇼핑 행태가 됐고 유통업체는 이런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해 경쟁의 우위로 삼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실제 선진 유통업체들은 오프라인 매장, 온라인 사이트 등 다양한 유통채널을 통합관리하는 '옴니(Omni) 채널' 전략을 펼치거나 쇼루밍족의 편의를 제고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영국의 '존 루이스' 백화점은 작년 10월 매장 곳곳에 인터랙티브 스크린을 설치, 소비자들이 제품 정보를 검색한 뒤 온라인으로 주문할 수 있도록 했다. 세계 최대 유통업체인 월마트도 상품 위치 검색, 계산 등 여러 기능을 탑재한 '월마트 앱'을 내놓고 온라인과 모바일을 끌어안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은정 기자 ehofkd11@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