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씨가 인터넷 ‘칼럼세상’에 꾸준히 올린 글을 눈여겨 봐온 박 대통령이 인수위에서 일해 줄 것을 요청했다는 게 청와대 고위 관계자의 설명이다.
![]() |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시절 윤창중 대변인에게 임명장을 수여하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
또 종합편성채널에 출연해 주로 야당 후보를 겨냥한 발언을 쏟아내 야권 반발을 샀다.
인수위 대변인을 하면서는 취재진과도 끊임없는 마찰을 일으켰다. 인선 발표를 하며 밀봉된 봉투를 취재진 앞에서 뜯는 작위적 장면을 연출해 ‘밀봉인사’ 논란을 자초했고 불성실한 브리핑으로 ‘불통 인수위’ 지적의 중심에 섰다.
박 대통령이 취임 후 윤씨를 청와대 대변인으로 재기용한 것도 예상을 깬 인사였다. 야권이 비판 수위를 높여도 박 대통령은 꿈쩍하지 않았다.
정권 출범 후 윤 전 대변인은 ‘오프 카메라’ 상태에서 열리는 백브리핑에서도 “확정된 사실만 말한다”는 원칙을 내세웠고 취재진 항의에도 “박 대통령과 청와대의 메시지 혼선을 최소화했다”고 자평하는 고집불통의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특히 민감하고 시급한 사안에는 대부분 ‘모르쇠’로 일관해 뒷말이 끊이지 않았다.
결국 언론인 출신이지만 ‘프레스 프렌들리’와는 거리가 먼 청와대 대변인 역할을 수행해 온 그는 박 대통령의 방미 수행 때 ‘부적절한 행위’로 새 정부 출범 후 70여일 만에 전격 퇴출되는 신세가 됐다. “신언서판(身言書判), 즉 외모·언변·문장력·판단력이 요구되는 상징적인 국가 벼슬이 청와대 대변인”이라고 정의한 그의 2006년 ‘청와대 대변인론’ 칼럼이 새삼 회자된다.
김재홍 기자 ho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