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사냥” 비난에 타분야로 확대
중국이 지난 10여년 사이 아프리카에 미국과 맞먹는 83조원 이상의 돈을 쏟아부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워싱턴 소재 글로벌발전센터가 최근 중국의 아프리카 원조실태를 조사한 결과 중국의 아프리카 원조 규모가 2000∼2011년 754억달러(약 83조80억원)에 이르렀다고 AFP가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900억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으며 주요국 전체 원조액의 5분의 1에 해당하는 액수다.
센터 측은 중국의 원조액 중 연간 11억달러만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기부클럽에서 규정한 공적원조(ODA)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윌리엄 앤 매리대학의 브래들리 파크 교수는 “공적 원조 규모는 미국과 중국이 비슷하다”면서 “그러나 중국의 원조를 둘러싼 논란이 많다”고 말했다. 그동안 서방국가들은 중국이 독재국가 여부에 개의치 않고 아프리카 자원사냥에 집착하면서 비민주적 독재·부패정권을 지지했다고 비난했다.
이번 조사결과 중국은 50개 국가에서 1673개 개발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으며 빚 탕감에서 교통·물류프로젝트, 농업까지 광범한 분야에 걸쳐 있다. 중국은 특히 독재자 로버트 무가베 대통령이 33년째 철권통치하고 있는 짐바브웨에서 국방대학을 지원하고 있다. 독재와 내전을 반복하며 정정불안에 시달린 가나는 가장 많은 차이나 머니를 받고 있으며 알제리도 사정이 비슷하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파크 교수는 “중국이 자원추출과 도로, 댐 등 대형 인프라프로젝트에 집중하고 있다는 고정관념이 있었다”면서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는 대형 프로젝트와 더불어 건강·보건과 교육, 정부 및 시민사회 부문에도 많은 프로젝트가 시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은 아프리카 진출 초기 초기 무차별식 자원싹쓸이에 치중했으나 확산하는 반중 여론을 달래기 위해 교묘한 방식을 동원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들어 중국은 콩고공화국과 같은 자원빈곤국 지원에 나서고 있으며 진출 분야도 비자원 분야로 넓히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주춘렬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아베 본색’ 다카이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577.jpg
)
![[세계포럼] ‘종묘 뷰’ 세운상가 재개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575.jpg
)
![[세계타워] ‘야수의 심장’ 속마음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527.jpg
)
![[기고] ‘외로운 늑대’ 설칠까 불안한 대한민국](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2/128/20251112517163.jpg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300/2025111150797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