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설왕설래] 행복지수

관련이슈 설왕설래

입력 : 2012-07-11 21:15:54 수정 : 2012-07-11 22:14:47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인간은 누구나 행복을 원한다. 그런데 행복을 정의하기란 쉽지 않다. 사전적 의미는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어 흐뭇한 상태’다. 다분히 주관적이다. 행복을 계량화하기는 더욱 어렵다. 개인이나 집단이 얼마나 행복한가를 측정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그럼에도 인간의 최대 관심사인 행복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다.

영국 심리학자 캐럴 로스웰과 피트 코언은 2002년 행복지수를 발표했다. 18년 동안의 실험을 통해 행복지수 ‘P+(5×E)+(3×H)’를 만든 것이다. 만점인 100점에 근접할수록 행복도가 높다. P는 인생관·적응력·유연성 등 개인적 특성을, E는 건강·돈·인간관계 등 생존조건을 가리킨다. H는 야망·자존심·기대·유머 등 형이상학적 조건을 의미한다. 연구자들은 생존조건과 형이상학적 조건이 개인적 특성보다 각각 5배, 3배 중요한 것으로 판단했다.

우리나라 국민의 행복지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OECD 국가 삶의 질 구조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행복지수는 10점 만점에 4.20점이었다. 이는 OECD 34개 회원국 중 32위로, 평균 6.23점에도 크게 못 미치는 수치다. 우리보다 행복지수가 낮은 나라는 터키(2.90점)와 멕시코(2.66점)뿐이었다. 행복지수 1위는 덴마크(8.09점)였고, 호주(8.07점)와 노르웨이(7.87점) 등이 뒤를 이었다.

OECD는 지난해 회원국의 ‘보다 나은 삶 지수(BLI)’를 발표했다. BLI 산출에는 1인당 방 수, 가처분소득, 고용률, 사회네트워크 안정성 등 12개 지표가 사용됐다. 이번 연구는 이들 지표에 외부인에 대한 관용, 성차별 같은 사회적 자본 관련 지표와 지니계수, 빈곤율 등 부(富)의 불평등 지표를 추가해 만들었다고 한다.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소득과 고용 안정성이 중요하지만 부의 편중이나 극빈자 수를 줄이기 위한 고민도 병행돼야 한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국민행복을 책임지겠다고 나선 대선 주자들이 눈여겨봐야 할 대목이지 싶다.

안경업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