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난 선원의 위치를 인공위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구명조끼가 보급된다.
부산시는 인공위성을 통해 조난 선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는 '어선원 안전관리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26일 밝혔다.
이 시스템이 도입되면 해난사고를 당한 선원들의 위치를 신속히 파악해 구조에 나설 수 있어 인명피해를 대폭 줄 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안전심판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내 해양사고의 70%는 어선에서 발생하고, 이로 인한 어선원의 실종·사망자 수는 연평균 94명에 이르고 있다.
전국 어선원 실종·사망자의 12%가 부산에서 발생하는 등 사고가 빈발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부산시는 지난 10월 자체사업으로 '어선원 자동위치발신 구명조끼 지원 시범사업 연구용역'을 발주해 27일 최종보고회를 연다.
보고회에서는 개인 자동위치발신기의 성능기준, 규격, 운영방안이 소개되고 시험결과에 따른 경제적 효율성 등에 대한 설명이 이뤄진다.
또 위치발신기 조끼가 조업 중에도 상시 착용이 가능한지와 어업인의 선호제품 등에 대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위치발신 조끼 도입이 확정되면 대형선망, 대형기선저인망 어선원에게 우선 지급하고 2차적으로 국비 지원을 통해 부산 연근해 어선원 9000여명에게 모두 위치발신기를 부착한 구명조끼를 연차적으로 보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전상후 기자 sanghu60@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