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달 21∼25일 우리나라(서울)와 미국(뉴욕), 캐나다(토론토), 영국(런던), 프랑스(파리), 이탈리아(밀라노), 독일(프랑크푸르트), 일본(도쿄), 중국(홍콩), 싱가포르(싱가포르), 대만(타이베이) 등 11개국의 22개 생활필수품 가격을 비교한 결과 이처럼 조사됐다.
조사 결과 외국보다 비싼 품목은 12개로, 이 중 한국의 돼지고기 가격은 11개국 중 1위였으며 외국 평균가격보다 104% 비쌌다. 또 마늘(70%), 쇠고기(56%), 청바지(24%), 스낵과자(17%), 분유(8%), 생리대(6%), 경유(4%), 세제(4%), 휘발유(2%), 달걀(2%), 샴푸(2%) 등이 외국보다 가격이 높았다.
반면 라면(-46%), 밀가루(-42%), 등유(-19%), 양파(-17%), 설탕(-16%), 식용유(-12%), 화장지(-10%), 우유(-10%), 빵(-10%), LPG(-2%) 등 10개 품목은 외국보다 저렴했다.
돼지고기 등 농축산물은 외국보다 가격이 높지만 라면 등 가공식품은 비교적 낮은 편이어서 향후 이들 물품의 국내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일부 소수업체에 의한 독과점 구조도 문제점 중 하나로 꼽혔다. 석유는 국내 4개 정유사가 약 74%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고 세제는 4개 업체가 75%, 생리대는 3개 업체가 약 93%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고 소비자원은 설명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에서 국내 가격이 국제시세보다 높은 품목은 생필품가격정보시스템(T-price)을 통해 가격정보를 제공하고 개선방안을 공정거래위원회 등 해당부처에 건의할 예정이다.
김기환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