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주(60) 통일교 부산·울산교구장과 함께 수정산(천부산)으로 들어서 ‘본성지’라 불리는 ‘눈물의 바위’에 섰다. 크고 작은 돌들이 촘촘한 가운데 유난히 붉은 빛을 내는 바위다. 김 교구장은 문선명 총재가 59년 전 이곳에서 ‘자녀 잃은 부모(하나님)’의 심정을 헤아리며 하염없이 눈물을 쏟았고, 그런 연유로 후일 ‘눈물의 바위’라 이름 붙여졌다고 소개했다. 눈물 어린 기도 내용은 ‘하나님 해방과 인류 구원’이었다.
![]() |
◇‘범냇골성지’ 순례차 일본 오사카에서 온 학생들이 천부산 정상 ‘천부산 천주 제1성지’ 기념비 주위로 원을 그린 채 서서 손에 손을 잡고 기도를 하고 있다. |
![]() |
◇문형진 통일교 세계회장 내외가 ‘눈물의 바위’에서 기도를 하고 있다. |
시원한 물 맛에 기운이 돋아 성큼성큼 산길을 오르니 금세 수정산 정상에 다다랐다. 해발 300m로 낮지만 가파른 길을 오른 뒤 도달한 산 정상이다. 1951년 1월27일 문 총재가 기도를 한 곳이다. 이곳에는 오른쪽으로 ‘천주통일’, 왼쪽으로 ‘조국통일’이라는 글자를 새겨넣은 5m 높이의 돌탑이 서 있다. 이 돌탑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가 전해진다. 돌탑을 쌓으려는 순례자들의 돌 나르기로 주변 돌이 그야말로 ‘씨’가 말랐다. 최모 권사는 무덤가 돌을 주워 돌탑에 얹으려다 꺼림칙한 생각에 돌을 그냥 버렸다. 그러자 “왜 버리나요. 나를 데려가 주세요”라고 간청하는 돌의 음성이 울려 퍼졌다. 영적인 환상을 경험한 최모 권사는 결국 이 돌을 다시 주워 돌탑에 얹었다고 한다.
![]() |
◇‘범냇골가정교회’는 현재는 예배 등 교회 업무가 없는 기념교회로 사용되고 있다. |
![]() |
◇수정산(천부산) 정상의 천주통일·조국통일 돌탑. |
왔던 길을 거슬러 내려오면서 이곳에서 미래 청사진을 그렸을 문 총재를 생각했다. 그러나 이후 역사를 보면 하산한 세계는 완연하게 다른 세상이었다. 1952년 남한에서 남성 첫 전도자로 이요한 목사가 입교한 이후 기성교회를 이탈해 통일교 ‘식구’가 되는 이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그만큼 반대와 핍박도 심해져 문 총재는 1953년 수정동에서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거처를 옮겨 다닐 수밖에 없었다. ‘이단’이니 ‘사이비’니 하는 말은 문 총재 이름 앞에 붙는 고유명사로 굳어질 대로 굳어진 터였다. ‘수정동 수난시대’를 겪었지만 문 총재는 교리서인 ‘원리원본’ 집필을 마쳤고, 토담집 첫 교회도 설립했다. 문 총재는 남한에서 남녀 첫 제자를 얻은 기쁨을 간직한 채 뜻깊은 부산살이를 접고 1953년 말 서울로 향했다. 문 총재와 그 제자들, 그리고 1954년 ‘세계기독교통일신령협회’라는 공식 간판을 내건 이들의 본격 수난시대는 이제 ‘지역구’에서 ‘전국구’로 향하기 시작했다.
부산=신동주 기자 range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