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정치에서는 스마트 파워가 대세다. 미국의 국제정치학자 조지프 나이는 군사력에 기반한 하드 파워와 설득과 문화에 기초한 소프트 파워를 적절히 조화시킨 스마트 파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영향을 받았는지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지난해 1월 취임하면서 스마트 파워 외교를 추구하겠다고 천명했다. 한국에서는 스마트 폰이 유행하자 정치인들이 너도나도 스마트 정치를 펼치겠다고 나서 눈총을 사기도 했다. 스마트라는 말이 만능의 키 정도로 대접받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는 셈이다.
이제 스마트 워크라는 말까지 등장했다. 정부가 업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할 수 있는 이른바 스마트 워크 시스템을 활성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쉽게 말해 스마트 폰 등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재택근무 등을 확대하겠다는 뜻이다. 스마트 워크가 뿌리를 내리면 교통량을 줄여 탄소 배출을 줄이고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정부는 공무원의 스마트 근무율을 대폭 끌어올려 솔선수범하겠다는 입장이다. 구상 자체는 나무랄 데 없다. 다만 내실을 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앞서 정부는 그린산업 육성책을 여러 차례 떠들썩하게 발표했다. 그러나 이렇다 할 성과도 없어 예산만 낭비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형편이다. 지나치게 구호화·형식화돼서 유명무실해진 정책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정부가 홍보에 급급해서 초래된 결과다. 스마트 워크 정책이 이런 전철을 밟아서는 안 된다. 형식적이 아닌 치밀한 대책이 뒤따라야 한다. 스마트 폰 유행에 맞춰 제시된 겉만 번지르르한 정책이 돼서는 곤란하다.
전천실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