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설왕설래] 스마트 워크

관련이슈 설왕설래

입력 : 2010-07-21 20:54:51 수정 : 2010-07-21 20:54:51

인쇄 메일 url 공유 - +

영어단어 스마트(smart)는 ‘영리한’ ‘맵시 있는’ ‘상류층의’ ‘활기찬’ ‘컴퓨터로 조정되는’ 등의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대부분 좋은 뜻이라는 점이 흥미롭다. 그래서 그런지 스마트 단어가 들어가는 조어가 유난히 많다. 대표적인 것이 스마트 폰이다. 스마트 폰은 출시되자마자 일반 휴대폰을 대체할 정도의 기세로 불티나게 팔려나가고 있다. 주식시장에서는 스마트 케어와 스마트 그리드 관련주가 테마주로 부상하면서 한 바탕 시세를 분출하기도 했다. 스마트 폭탄이나 스마트 머니라는 말도 있다.

국제정치에서는 스마트 파워가 대세다. 미국의 국제정치학자 조지프 나이는 군사력에 기반한 하드 파워와 설득과 문화에 기초한 소프트 파워를 적절히 조화시킨 스마트 파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영향을 받았는지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지난해 1월 취임하면서 스마트 파워 외교를 추구하겠다고 천명했다. 한국에서는 스마트 폰이 유행하자 정치인들이 너도나도 스마트 정치를 펼치겠다고 나서 눈총을 사기도 했다. 스마트라는 말이 만능의 키 정도로 대접받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는 셈이다.

이제 스마트 워크라는 말까지 등장했다. 정부가 업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할 수 있는 이른바 스마트 워크 시스템을 활성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쉽게 말해 스마트 폰 등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재택근무 등을 확대하겠다는 뜻이다. 스마트 워크가 뿌리를 내리면 교통량을 줄여 탄소 배출을 줄이고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정부는 공무원의 스마트 근무율을 대폭 끌어올려 솔선수범하겠다는 입장이다. 구상 자체는 나무랄 데 없다. 다만 내실을 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앞서 정부는 그린산업 육성책을 여러 차례 떠들썩하게 발표했다. 그러나 이렇다 할 성과도 없어 예산만 낭비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형편이다. 지나치게 구호화·형식화돼서 유명무실해진 정책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정부가 홍보에 급급해서 초래된 결과다. 스마트 워크 정책이 이런 전철을 밟아서는 안 된다. 형식적이 아닌 치밀한 대책이 뒤따라야 한다. 스마트 폰 유행에 맞춰 제시된 겉만 번지르르한 정책이 돼서는 곤란하다.

전천실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다미 '완벽한 비율'
  • 김다미 '완벽한 비율'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윤서연 '청순 매력'